‘배캠’ 작가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는

2025-11-20

음악이 삶의 전부는 아닙니다만

배순탁 지음

김영사 | 420쪽 | 2만1000원

음악을 말로 설명해내기란 어렵다. “퓨처베이스 기반의 일렉트로닉 팝”이라거나 “키치한 훅이 중독적”이라거나… 가수들이 외워 말하는 곡 소개가 직관적이었던 적은 드물다. 직접 이 곡이 왜 좋은지를 설명하려다 보면 표현력의 한계에 부딪히기 십상이다. ‘그냥’ 귀에 듣기 좋은 게 좋은 것 아니겠나.

MBC 라디오 간판 장수 프로그램 <배철수의 음악캠프>의 작가인 저자는 음악을 말로 풀어 소통하는 그 어려운 일을 18년간 해왔다. 책은 방송·칼럼·강연을 통해 음악 이야기를 나눠 온 그의 첫 음악 산문집이다.

100여개의 명반과 곡이 소개되는 책의 부제는 “이것은 음악평론이 아니다”이다. 십수 년간 음악을 적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언어의 영점을 조정해 온 저자이기에, 그의 글에서는 평론가의 향기가 난다. 다만 매 곡과 앨범을 저자가 왜 아끼고, 어느 순간부터 좋아하게 되었는지를 꼼꼼히 정리한 기록은 평론보다 사적이다. 그의 플레이리스트는 이글스와 라디오헤드부터 레드벨벳과 악뮤까지 지역과 시대를 막론한다. 곡·앨범마다 2~3장 분량으로 한 곡을 다 듣기 전에 글이 끝나버리지만, 그렇기에 더 많은 곡을 추천받을 수 있다. 책은 이글스의 ‘호텔 캘리포니아’가 사실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이라는 등 음악에 얽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전하는 데도 충실하다. 그는 곡과 가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될 때 곡을 더 흥미롭게 들을 수 있다고 말한다.

무언가를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까지. 저자가 평생에 걸쳐 얼마나 많은 음악을 듣고 공부했을지 헤아리게 된다. ‘좋다’는 직관적인 감각을 그럴듯한 형용사로 눙치지 않으려는 치열한 고민이 느껴지는 글이다. 저자의 다정한 추천은 흘려들었던 노래를 다시 찬찬히 듣게 한다. 내게는 이 곡이 어떻게 들리는지, 나름의 주석을 붙여보고픈 마음을 일깨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