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민, 자체배달 강화…양사 비슷한 환경에서 경쟁
배달 품질, 점주 확보 등이 경쟁 우위 가를 듯
배달의민족(배민)과 쿠팡이츠가 오는 2분기부터 본격적인 서비스 경쟁을 벌인다. 이달 배민에 이어 오는 4월 쿠팡이츠도 차등수수료 기반으로 전환한다. 배민은 쿠팡이츠 같이 자체배달을 강화한다. 양사 간 비슷한 환경에서 배달 품질 서비스, 점주 확보를 두고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배민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은 지난 19일 '배민1플러스' 사업자를 대상으로 매출 규모에 따른 상생요금제 구간을 분류하고 안내하고 있다. 오는 26일 차등수수료를 기반으로 한 '배민1플러스 상생 요금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배민은 지난해 11월에서 지난 1월까지 3개월 간 매출을 기준으로 매출 구간별로 점주를 분류했다. 2.0~7.8% 차등수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매출 분류 기간은 오는 26일부터 5월까지 3개월 간 시행된다.
쿠팡이츠는 오는 4월 2일부터 배민과 동일한 2.0~7.8% 구간의 차등수수료 기반의 '상생요금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기본 중개 수수료 7.8%를 기준으로 이미 정산된 금액과 차액을 환급해주는 방식을 적용한다. 쿠팡이츠의 상생요금제는 배민과 달리 1개월을 기준으로 매출을 산정한다. 계절성이 낮은 월에는 상생요금제 구간에 반영해 부담을 덜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배민과 쿠팡이츠의 매출 기준이 달라져 장단점이 분명해질 전망이다. 배민의 상생요금제는 3개월마다 산정하기 때문에 계절성을 제때 반영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반면 쿠팡이츠는 환급제 방식이라 업주들이 적용 수수료율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영업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비용 플랜 등을 수립하기 어려운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양사 상생요금제의 장단점이 점주 풀 확보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국내 배달 시장이 사실상 배민과 쿠팡이츠의 양자대결 구도로 접어든 가운데 양사의 배달 서비스 품질 경쟁도 이어질 전망이다. 배민은 울트라콜 폐지와 자체배달 확대, 쿠팡이츠의 무료배달을 유지하면서 점유율을 확대한다.
배민은 상생요금제 시행과 함께 올해 정액제 요금제인 '울트라콜'을 폐지하고 자체배달(OD) 서비스를 대폭 확대한다. 특히 우선 정액제 광고 상품인 울트라콜 서비스를 폐지하면서 광고 상품의 변화를 꾀한다. 울트라콜은 월 최소 8만8000원(부가세 포함)을 내면 점주가 원하는 특정 지역의 고객에게 자신의 가게를 노출시키고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광고 상품으로 정액제로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평균적으로 점주들은 3~5개, 일부는 10~20개까지 이용해왔다.
배민 입장에서는 연매출 수천억 원에 달하는 울트라콜을 종료하는 것이 상당히 과감한 결정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2023년 기준 배민 점주 수가 약 30만명이며, 이 중 가게배달을 이용하는 21만 개 점포가 평균 3개씩 울트라콜을 운영했다고 가정할 경우, 연매출 약 6048억 원(21만 업주×8만원×3개×12개월)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쿠팡이츠는 지난해 3월부터 이어온 무료배달을 이어가면서 점유율을 확대한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쿠팡이츠의 지난달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1002만명으로 지난해 1월 쿠팡이츠의 MAU가 553만명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1년 사이에 2배 가까이 성장했다. 특히 최근 쿠팡이츠의 지방 공략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배민의 울트라콜 종료가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울트라콜 가입 업주의 비중이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상생안 시행으로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에 수수료 인하가 모두 적용되면 앞으로 서비스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면서 “배민이 이번 개편으로 인한 매출 손실, 업주 이탈 등 리스크를 극복하고 서비스 혁신에 성공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우위를 잡은 더불어민주당이 배달 수수료 재산정을 추진하는 것도 변수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지난 19일 쿠팡이츠와 배달앱 사회적 대화기구를 출범하며 배달 중개 수수료 인하를 추진하기로 했다. 20일에는 우아한형제들 본사를 방문해 배민에게도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요청했다. 지난해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에서 수개월 논의 끝에 차등 수수료 기반 상생안을 도출했고, 이달 시행을 앞둔 상황에서 재산정을 요구한 셈이다. 배달 플랫폼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에 정치권이 과도하게 개입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