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V·노로바이러스도 조심
보건당국 "백신 꼭 접종"
LA 등 전국에서 독감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건당국은 생후 6개월 이상인 사람은 독감(flu),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코로나19 백신을 꼭 맞으라고 당부했다.
제니 황(43)씨는 최근 다섯 살 아이를 병원 응급실로 데려가야만 했다. 황씨는 “아이가 기침을 계속하고 체온이 105도까지 올랐다”면서 “증상이 계속 나빠져 응급실에 갔더니 독감이었다. 다행히 RSV는 아니었다”고 전했다.
피터 신(38) 전문간호사(NP)는 “독감에 걸린 환자가 너무 많이 병원을 찾고 있다. 우리 가족도 걸려서 일주일 정도 구토를 하는 등 이번 독감은 증상이 꽤 심하다”고 말했다.
LA카운티 공공보건국에 따르면 지난 1월 넷째 주 독감증상을 보인 환자 6668명 중 확진자는 1913명으로 확진율 29%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중순 독감이 1차 유행한 뒤 올해 1월 초 확진율이 22%까지 떨어졌지만, 중순 이후 다시 29%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1월 말 기준 독감 증상으로 병원 응급실을 찾은 환자 비율도 12%로 지난해 동기의 6%보다 두 배 높았다.
CBS뉴스는 현재 캘리포니아주 등 전국 41개 주가 독감 확산 수준이 ‘높음 또는 매우 높음’이라고 경고했다.
실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는 독감 환자는 전주 대비 30%나 급증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낮은 백신 접종이 독감 감염률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CDC에 따르면 백신접종률은 성인 44%, 어린이 44.5%로 목표치 70%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이영직 내과전문의는 “면역력이 약한 나이대일수록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다. 증상이 심하면 의사 진료를 받고 72시간 안에 항바이러스 감기약인 타미플루를 먹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약자를 공격하는 RSV 감염자도 늘고 있다. 1월 말 기준 LA카운티 지역 RSV 확진율은 8%로 지난해 11월 4%대의 두 배 수준이다.
RSV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예방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티파니 김(70대)씨는 “RSV는 독감하고 증상이 비슷하고 감염되면 숨을 못 쉴 정도로 기침을 계속한다. 한번 고생하고 난 뒤에는 백신을 꼭 맞는다”고 전했다.
이밖에 LA카운티 공공보건국은 호흡기 질환인 메타모뉴 바이러스(HMPV)와 겨울철 식중독을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 감염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LA타임스는 가주 전역에서 조류독감(H5N1, H5N9)이 계속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2월 3일 기준 가주에서만 상업용 양계장 100곳 이상에서 조류독감이 확인됐고, 2300만 마리가 바이러스에 노출됐다고 전했다.
특히 전국에서 67명(사망 1명)이 조류독감에 감염됐고 이 중 50%가 가주민으로 나타났다. LA카운티에서는 지난해 12월 첫 조류독감 감염환자가 보고됐다.
LA카운티 공공보건국은 “멸균 처리되지 않은 우유, 덜 익힌 동물성 제품을 섭취하지 말고 애완동물 등이 야생동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