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보이스피싱 등 범죄조직이 내부 단속과 보복을 위해 ‘박제방’이라 불리는 텔레그램 채널을 운영하며 통장 명의자들의 신상정보를 공개·협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에 통장을 넘기고 돈을 챙긴 뒤 잠적한 이른바 ‘먹튀’ 명의자들을 표적으로 삼아, 사진과 여권, 주소, 가족 정보까지 유포하며 공포심을 조성하고 있다.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텔레그램에서는 대포통장 명의자(‘장주’)의 신상정보를 게시하는 채널들이 수천∼수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한 채 운영되고 있다. 운영자들은 제보를 받아 명의자의 사진, 이름, 전화번호, 계좌번호 등을 공개하고, “배신하면 이렇게 된다”며 협박성 글을 함께 올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구독자 2600명 규모의 한 채널은 “박제 후 인생을 괴롭혀주겠다”, “정신교육 제대로 시켜주겠다”는 문구를 내걸었다. 중국 국적으로 추정되는 운영자는 가족의 신상정보까지 공개하며 압박하기도 했다. 특정 명의자의 여권 사진을 올린 뒤 “사기 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겠다”며 중국어로 “오늘 밤 네 어머니가 위험해질 것”이라는 협박을 덧붙인 사례도 있었다.
또 다른 대화방은 구독자가 1만8000여 명에 달하며 하루 1~2명의 신상정보가 공개되는 등 활동이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채널에서는 ‘출동팀’이라는 명칭으로 실제 체포조를 모집하는 정황도 포착됐다.
일부 채널 운영자들은 명의자를 체포해 무릎을 꿇리고 이발기로 머리를 미는 등의 폭력적인 장면을 담은 영상을 게시하며 공포를 조성했다. 채널 운영자들이 ‘먹튀’로 지목한 명의자가 반성문을 자필로 쓴 사례도 공개됐으나 운영자는 이를 조롱하며 용서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글을 함께 게시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이러한 박제방이 동남아시아 등지의 범죄조직에 연루된 피해자들이 탈출을 포기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태국 등에서 대포통장 명의를 제공한 경험이 있다고 밝힌 A씨는 “가족의 신상까지 모두 털리는 상황이라면 도망가기도 어렵고, 단순한 박제를 넘어 물리적 위협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 매우 두렵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채널에서는 피해자를 박제한 직후 대포통장 명의를 모집하는 광고를 게시해 궁지에 몰린 이들을 유인하려는 정황도 발견됐다. 이러한 행위는 범죄 피해자의 보복 우려를 키우고 추가 피해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