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접해라, 나가면 작업할 게 많다.
마지막 말이 될 줄은 아내도, 며느리도 몰랐다. 폐암 투병 중이던 화가 박서보(1931~2023)는 갑자기 상태가 악화해 병원에 입원한 뒤 의식을 되찾자 배접(종이 등을 여러 겹 포개어 붙임)부터 챙겼다. 화가가 세상을 떠나기 이틀 전인 2023년 10월 12일 병원을 찾았던 며느리 김영림 씨는 “뵙고 나오며 어머니와 ‘뭘 또 배접하라 하시나, 배접해둔 게 이렇게 많은데. 빨리 나오셔야겠다, 저렇게 애면글면하시니’ 하고 웃었는데 이틀 뒤 돌아가실 줄은 몰랐다”고 돌아봤다.
구순 넘긴 화가는 왜 오래된 신문에 그리고 지웠을까
끝까지 무얼 그리려 한 걸까. 박서보 유작 ‘신문 묘법(Newspaper Ecriture)’ 시리즈가 11일까지 뉴욕 화이트 큐브 갤러리에서 전시된다. 2022년 시작한 ‘신문 묘법’은 오래된 신문을 한지에 배접한 뒤 물감으로 칠하고 연필로 그으며 지워나가는 연작이다.
1939년 2월 19일 자 프랑스 ‘르 프티 프로방살’ 지면에 화가는 흰 물감을 흩뿌린 뒤 연필로 그어나갔다. 뒷면엔 ‘나의 사랑하는 아내 윤명숙이 태어난 날에 발간된 신문이다’라고 또박또박 적었다.
2022년 ‘신문 묘법’을 창안한 뒤 화가의 눈은 뉴욕 전시가 열리는 2024년 말을 향했다. 1931년 11월 15일 자 프랑스 ‘로드레’ 뒷면에는 ‘이 신문은 박서보가 태어난 날에 발간된 신문이다’와 함께 화이트 큐브 뉴욕에서의 개인전 일정을 적어뒀다.
제호와 날짜 정도만 보일 듯 말듯, 식민지에서 태어난 화가는 먼 나라 프랑스의 하루를 기록한 신문 위에 눈 내리듯 흰 물감을 뿌리고 연필로 그어 지워버렸다.
김영림 씨는 “아버지는 프랑스나 미국의 지인들, 현지 화랑을 통해 오래된 신문을 구했고, 전쟁 등 거기 담긴 내용을 흥미롭게 봤다. ‘문명의 상징인 신문에는 사람들이 상처 받은 사건·사고가 기록돼 있고, 그걸 내 예술로 덮으면 다른 게 되는 거지’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193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난 박서보는 1970년대 초부터 연필로 끊임없이 선을 긋는 단색화 작업 ‘묘법’을 해왔다. 사회의 역사를 기록하고 하루 만에 버려지는 신문의 무상함 위에 개인의 역사를 입히고 지운 것이 그의 마지막 작업이었다.
재료 없어서, 검열에 저항하려…예술로 남은 신문들
하루 보고 버려질 뿐이지만, 신문은 오래도록 예술가들의 흥미를 끌었다. 1969년 파리 외곽의 마구간에서 지내며 그림 그리던 김창열(1929~2021)은 캔버스에 튄 물방울의 영롱함에 빠져들었다. 처음엔 다락에 쌓아둔 묵은 신문 더미에 수채 물감으로 물방울을 그렸다. 실존과 시대정신을 상징하는 신문, 그 위에 물방울의 환영을 올렸다.
1960년대 뉴욕으로 간 김환기(1913~74)는 뉴욕타임스 위에 초기 점화, 십자 구도 추상화를 실험했다. “봄내 신문지에 그리던 일 중에서 나는 나를 발견하다”(1967년 10월 13일)라고도 일기에 썼다.
최병소(82)는 실험 미술의 산실이던 대구에서 1975년부터 지금까지 볼펜으로 신문을 지워나간다. 검열에 저항해서, 지루함을 몸으로 견뎌내려, 지우고 지워 먹지처럼 새까맣게 만든 신문을 전시장에 걸었다.
성능경(81)은 1974년 그가 속한 전위 미술 단체인 ‘S.T(Space&Time)’의 그룹전이 열리는 국립현대미술관에 매일 나가 그날의 신문을 붙이고 면도칼로 기사를 오려낸 뒤, 오려낸 기사를 아크릴 통에 버리는 행위를 두 달 넘게 반복했다. 오려져 군데군데 구멍 난 신문지는 검열과 통제의 흔적처럼 보인다. 퍼포먼스는 1976년 ‘신문읽기’로 이어졌다. 신문기사를 소리 내 읽고 오리는 행위를 반복하며 그는 유신 시대 언론의 역할을 물었다.
‘호외 컬렉션’은 어떤 ‘계엄 예술’로 다시 태어날까
더는 신문지를 모아 그림을 그려야 할 만큼 종이가 귀한 시대도 아니거니와 종이 신문도 디지털화되는 시대다. 계엄과 탄핵 사태는 검열에 저항하는 예술적 도구로 신문을 사용한 최병소나 성능경의 작품을 떠올리게 한 동시에, 종이신문 자체의 주목도도 높였다.
지난달 3일 비상계엄 선포, 14일 윤 대통령 탄핵 가결 당시 여러 신문사가 호외를 발행해 무료로 배포했다. 호외는 신문사에서 정기적으로 내는 신문 외에 주말이나 심야, 새벽에 벌어진 중요한 사건을 알리기 위해 임시로 발행하는 특별판이다. 희귀한 역사를 기록한 한정판이라는 의미에서 ‘탄핵 가결 호외 세트’라는 이름으로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고가에 판매됐다.
하루 치 정보를 전달하고 나면 재활용품이 되는 신문이 ‘호외 컬렉션’‘계엄 굿즈’가 되는 역설이다. 성능경과 최병소를 넘어, 신문은 또 어떤 예술로 재탄생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