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에서 시작된 차량용 반도체 공급망 위기가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31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합의에 따라 넥스페리아가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반도체 수출을 재개할 예정이다. 백악관은 조만간 넥스페리아와 관련한 합의 내용을 담은 성명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넥스페리아는 주요 완성차 업체의 부품에 들어가는 범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넥스페리아 반도체는 자동차의 속도계부터 에어컨 공조 시스템까지 다양한 부품에 사용된다.
앞서 미국이 중국을 겨냥한 수출 통제 조치의 일환으로 넥스페리아를 인수한 중국 스마트폰 조립업체 윙테크를 통제 대상에 포함시키면서 차량 반도체 수급난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미국은 지난해 말 네덜란드 정부에 넥스페리아의 윙테크 경영권을 박탈하라는 요구를 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네덜란드 정부는 실제로 올해 9월 국가안보를 이유로 윙테크의 경영권을 박탈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맞대응해 상하이와 베이징 등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는 반도체에 대한 수출을 차단했다. 일본 자동차업체 혼다가 반도체 부족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북미 일부 공장의 생산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등 실제 파장이 현실화하기도 했다.
![[컨콜] 기아, 엔비디아 칩 기반 SDV 공동개발…2028년 양산 목표](https://img.newspim.com/news/2025/01/13/2501130847077060.jpg)





![삼성·SK, 블랙웰 5만장으로 반도체 공장 AI화…HBM4 증산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1/2H0AA1ST1K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