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혁신금융 135조, AI 비중은 3%뿐

2025-09-14

지난해 정책금융기관과 KB국민·우리은행 등 민간이 공급한 혁신성장금융 135조 원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가 차지한 비중이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이 AI를 차세대 핵심 성장동력으로 선정해 지원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금융권의 지원 규모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우리금융연구소가 신용정보원 혁신성장인텔리전스(IGS)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의 혁신성장공동기준에 해당하는 기업 중 AI 분야에 나간 대출 및 보증, 투자 지원은 4조 1000억 원에 그쳤다. 비중으로는 3.0%로 전체 9개 분야 중 꼴찌를 기록했다.

분야별로 보면 제조와 모빌리티가 43조 8000억 원으로 전체의 32.3%를 차지했다. 20조 1000억 원인 에너지(14.9%)가 2위, 16조 9000억 원의 지원이 나간 환경·스타트 농축수산(12.5%)이 그 뒤를 이었다. 소재 부품(8.9%)과 융합지식 서비스(8.6%)의 지원액은 각각 12조 1000억 원, 11조 6000억 원이었고 바이오헬스(8.3%)도 11조 3000억 원을 찍었다. 반도체·디스플레이(6.2%)는 8조 4000억 원, 정보통신기술(ICT)·디지털(5.3%) 역시 7조 3000억 원의 지원을 받았다. 전체적으로는 9만 개 이상의 기업이 정책금융기관과 민간 은행의 도움을 제공 받았다.

업계에서는 금융권이 아직 제조업 위주의 지원 전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혁신성장공동기준에 따르면 AI 섹터에는 AI칩과 기계학습·딥러닝, 지능형 센서, 온디바이스 AI, 자연어 처리 등 핵심적인 제품이나 기술을 다루는 기업이 포함된다. 생성형 AI에 대한 기대감으로 2023년과 2024년 모두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지만 절대 규모면에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흘러 나온다. 이지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AI 산업은 산업 수명주기 상 인프라를 구축하는 태동기에 위치하는데 자본집약적 특성으로 인해 초기 투자가 부진하면 시장 경쟁에서 완전히 도태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학계의 판단도 비슷하다. 정유신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AI는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한 만큼 거대 자본 과학의 기술”이라며 “개인정보보안 등 데이터 관련 제도들을 정비하고 깊은 연구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민간·정부·학계 차원의 전방위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AI는 PC가 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한 30여 년 전 상황과 비슷하다”며 “생태계 구축이 늦어지면 경쟁력 확보에 치명적”이라고 덧붙였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