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줄 알았으면 안 땄죠"…부동산 불황에 '국민 자격증'도 위기

2025-08-27

부동산 침체가 길어지면서 지난달 개업한 공인중개사보다 폐업하거나 휴업한 중개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신규 개업한 중개사는 748명으로 전달(700명)보다 다소 늘었다. 그러나 같은 달 폐·휴업을 선택한 중개사는 941명으로 개업자 수를 훌쩍 넘어섰다.

자격증 보유자는 55만 명에 달하지만 실제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는 지난달 말 기준 11만 754명에 불과하다. 5명 가운데 1명만 현업에서 활동하는 셈이다.

중개업계 불황은 2022년 하반기 주택 거래량이 급격히 줄고 집값이 꺾이면서 본격화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전세 거래가 소폭 반등했지만 전국적으로는 폐업(5715명)과 휴업(665명)이 신규 개업(5027명)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이사 수요가 몰리는 3월에도 신규 개업자가 900명대에 그쳤는데 이는 201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00명 선이 무너진 수치다.

시험 응시자 수도 빠르게 줄고 있다. 지난해 응시자는 15만 4669명으로 2017년 이후 처음 20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2017년 20만 5197명△2018년 21만 8614명 △2019년 20만 3695명 △2020년 22만 6888명 △2021년 27만 8847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2년 26만 4394명 △2023년 20만 59명 △2024년 15만 4669명으로 급감했다.

감소세의 주된 원인은 거래 절벽이다. 지난해 주택 거래량은 100만 6019건으로 전년(110만 2854건) 대비 8.8% 줄며 2006년 실거래가 공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조금 늘었지만 지방은 여전히 꽁꽁 얼어붙어 업황 위축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업계 회복세는 요원하다는 분석이다.

협회 관계자는 "개업자가 조금 늘고 폐업자가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업황은 부진하다"며 "신도시 개발 등 부동산 정책 방향이 명확해져야 중개업계에도 활력이 돌아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