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창설 40주년 기리는 동문(同門) 연주회 1

2024-10-08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2011년 4월 1일 시작한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가 오늘(10월 8일)로 700회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문화신문> 독자에게 쉬운 국악속풀이를 해주신 서한범 교수님께 <우리문화신문>은 독자 여러분과 함께 엎드려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편집자 말)

『서한범의 우리음악 이야기』가 이번 주로 700회를 맞는다. 그동안 우리음악 이야기에 관심을 보내주시고, 댓글도 달아 주신 <우리문화신문> 독자 제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글쓴이가 지난 2년여, 601회~699회까지 소개한 이야기들은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었다.

지운하와 인천 남사당패 관련 이야기, 임방울 국악제와 2022년 대상을 받은 최잔디의 판소리 심청가 이야기, 고 백인영의 제자들이 올리는 10주기 추모제 관련 이야기, <춘천시립국악단>의 창단공연과 앞으로의 활동방향 이야기, 경기소리 과천대회 이야기, 경기 12잡가 중 어려운 노래, ‘적벽가’로 장원한 장은숙의 이야기, 고 성창순의 제자 어윤경이 스승을 기리며 부르는 ‘심청가’ 이야기, 조선 춤 방에서 만난 민천식의 ‘화관무(花冠舞)’와 이를 지켜가는 김나연-차지언의 춤 이야기, 정노식의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에 나오는 서문(序文) 이야기, 그 가운데서도 민족의 유산을 지켜 온 사람들이 바로 궁정 악사들과 광대뿐이라는 이야기, 판소리에서 고수의 주요 역할론 이야기, 명고(名鼓) 송원조의 북은 단순하고 명료함이 특징이라는 이야기, 판소리 수궁가(水宮歌)에 나오는 수궁 풍류 이야기, 그 가운데서도 석연자가 탔다는 거문고와 장양의 옥통소 이야기, 그리고 혜강의 해금 관련 이야기, 그리고 최근에는 해금과 전통춤의 대명사로 알려진 심소(心韶) 김천흥 명인의 이야기로 ‘가면(假面) 안 쓴 처용이 바로 심소’고, ‘지인과 제자들이 기억하는 심소와의 만남 이야기, 김천흥을 비롯한 원로 명인들과 젊은 연주자들이 함께 조직한 정농악회(正農樂會) 관련 이야기 등등을 썼다.

특히, 지난주 699번째로 소개한 심소와 <정농악회>에서 정농의 의미는 “어진 음악을 지어 세상을 교화(敎化)한다”라는 뜻이라는 점, 이와 함께 동 악회(樂會)가 1970년대 중반, 창립연주회를 열면서 국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는 점, 그리고 발표회 준비를 하면서 새로 익히고 복습한 결과는 훗날 후진 양성에 크나큰 경험과 교훈이 되었다는 점도 이야기하였다.

재미없는 음악의 대명사가 바로 정악(正樂)이고, ’영산회상-靈山會相)‘과 같은 느린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국악인들이나 애호가들이 많았던 것은 70년대나 지금이나, 별반 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평생을 아악부(雅樂部)와 <국립국악원>에서 지낸 원로 사범들은 세상 사람들이 재미없다고 치부해 온 영산회상을 세상 으뜸 음악으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그 전승이 가능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각설하고- 『서한범의 우리음악 이야기』 700회를 맞는 이번 주에는 단국대 국악과 창설 40주년을 기념하는 동문음악회 이야기로 이어가 보기로 하겠다.

학교 수업의 하나로 교수들이 지도하여 공개적인 발표회를 여는 재학생들의 정기연주회나 특별연주회와는 그 결이 사뭇 다른 것이, 곧 졸업생들의 자발적인 연주회, 곧 <동문연주회>인 것이다. 학과창설 40돌을 맞이해 졸업생들이 준비한 이 행사는 지난 9월 6일, 경기도 용인시 죽전에 있는 <단국대학교 난파음악관> 콘서트홀에서 100여 명으로 구성된 연주 단원에 의해 성대하게 펼쳐졌다.

얼핏 생각하면, 예삿일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학교를 떠난 지 10년을 넘어 20년이 되고, 30년이 넘어 40년이 다 되어가는 환갑의 나이가 된 졸업생들이 기획하고, 무대를 만들어 동문연주회를 준비해 왔다는 점은, 단순하게 생각하거나 의지만으로는 이루기 쉽지 않은 무대일 것이며, 또한 그 정성스러운 마음은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보통의 애정은 아닐 것이다. 더욱이 지난여름, 그 혹독했던 2024년의 여름 날씨를 이겨내며 바쁜 시간을 쪼개서 연습하고 준비하였다는 그 열정과 정성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졸업생들의 안내로 공연장을 들어섰을 때, 이미 그곳은 학교의 교수, 임직원, 출연자들의 가족 친지 등등 반가운 얼굴들로 만원을 이루었다. 이날의 연주곡들은 모두 7편의 창작곡이 준비되었다.

제1곡은 임형묵의 지휘로 백대웅의 <남도아리랑>, 제2곡은 권용석의 지휘로 이원희의 퉁소 협연 <풍전산곡>, 제3곡은 박정숙이 협연하고 장문성이 지휘한 해금 협주곡-<가면무도회>, 제4곡은 최성무 작곡, 임형묵의 지휘, 김계희의 생황협주곡 - <저 하늘 너머에>가 선을 보였다. 그리고 이어서 제5곡은 이지영 편곡의 <민요연곡>이 여승헌의 지휘로 이어졌는데, 남도민요창에는 어수민ㆍ이윤선ㆍ홍장미ㆍ차유라 등과 경기민요 전공의 김미림ㆍ장민지ㆍ제현정ㆍ이다빈 등 각 4명의 소리꾼이 협연자로 출연하였다.

이어서 제6곡은 사물놀이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신모듬 3악장이 장문성의 지휘로 이어졌는데, 협연에는 김병곤ㆍ전승희ㆍ황예찬ㆍ김영환 등이었고, 마지막 제7곡은 이정호 작곡의 Heart of storm을 동양고주파의 협연과 이건석의 지휘로 이어져 막을 내렸다. (다음 주에 계속)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