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포인트,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전망 발표
한국·대만·일본은 하락세 불가피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오는 2028년 75%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일 카운터포인트는 2023~2028년 세계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전망을 발표했다. 중국은 2023년 68%에서 2028년 75%로 점유율을 높이며 1위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 9%에서 8%로 소폭 하락하고, 대만은 19%에서 16%로 내려갈 전망이다.
일본은 주요 생산라인 폐쇄로 4%에서 1%로 급감해 연평균 성장률이 -21.3%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인도는 투자가 2028년 이후로 미뤄져 2030년 가동이 시작될 것으로 관측됐다.

용도별로는 LCD TV·IT 부문이 2028년까지 73% 이상을 유지하며 시장을 이끌 전망이다. 이어 LCD 모바일·IT 부문이 14% 이상을 차지하고, OLED 모바일·IT 부문은 7%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OLED TV·IT 부문은 4%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2028년 연평균 성장률은 OLED 모바일·IT 부문이 6.7%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어 OLED TV·IT 부문이 2.6%, LCD TV·IT 부문이 2.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체별로는 BOE가 생산능력 1위를 이어가지만 성장률은 1.6%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차이나스타는 2022년 LG디스플레이를 제치고 2위에 올랐으며, 2023년 HKC가 LCD 축소로 LG디스플레이를 앞섰다.
티엔마는 신규 OLED와 LCD 라인 확장으로 연평균 20%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8년 점유율 3%에 도달할 전망이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