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주요 7개국(G7)보다 중간재 교역 비중이 높아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나 무역 분쟁 시 충격에 더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9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한국의 수출 중 중간재 비중이 67.6%, 수입은 50.5%로 G7 국가들을 모두 웃돌았다고 밝혔다. 이는 반도체, 이차전지, 석유제품 등 중간재 중심 산업 구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중간재 교역은 특정 국가와 품목에 집중돼 있다. 수출은 중국(23.7%)과 미국(14.2%)에, 수입은 중국(27.7%)과 일본(10.1%)에 편중됐다. 품목별로는 메모리(수출 15.6%), 프로세서·컨트롤러(7.8%), 석유제품(7.5%) 비중이 높았다.
경총은 "한국은 최종재보다 중간재 교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미중 갈등이나 주요국 수출 통제 시 생산 차질 위험이 크다"며 "수출시장과 수입선 다변화, 기술 자립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헬로즈업] 수도권을 떠난 공장들, 어디로 갔나…‘지역별 산업 재편 지도’](https://www.hellot.net/data/photos/20251145/art_17625640651043_b40395.jpg?iqs=0.8291190724768113)


![[GAM]'IPO 흥행' 베타 테크 ② '하늘의 테슬라' 길게 보고 매수](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中 수출 8개월 만에 -1.1%…5% 성장 목표 달성 ‘비상’ [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8/2H0DGAC0LZ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