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브르 박물관에서 훔친 보석, 암시장에 내놓으면?

2025-10-21

일단 보석은 훔쳤다. 그다음은?

지난 1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도난당한 프랑스 왕실 보석이 암시장에 매물로 나올 가능성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보석을 포함한 도난 예술품을 거래하는 국제 암시장 규모는 매년 수십억 달러 상당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암시장 형성지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인도 델리의 다이아몬드 세공소에서, 미국 뉴욕, 벨기에 앤트워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보석상까지 그 범위는 광범위하다.

절도범이 훔친 보석으로 일확천금을 얻을 가능성은 낮다. WSJ는 미술품 범죄 수사 경험이 있는 관계자를 인용해 “암시장에선 보석의 원래 시장가의 10% 이상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불법으로 취득한 물건인 만큼 비밀 유지를 위해 범죄 사실을 아는 사람들과 이윤을 나눠야 한다는 구조적 한계 때문이다.

그럼에도 절도범이 보석을 노린 건 암시장에서 거래되기 쉽다는 보석의 특성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 제작된 보석엔 일련번호를 새기지만, 오래된 보석엔 별다른 표시가 없어 유통에 용이하다. 크기가 작은 다이아몬드는 세공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보석이 달린 귀금속은 한 번 해체되면 되찾기가 어렵다.

보석엔 국제 데이터베이스가 없다는 점도 암시장 거래에 용이한 사정이다. 미술품은 ‘도난 미술품 등록부’(Art Loss Register)와 같은 국제적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기 때문에 팔기가 어렵다는 점과 대비된다.

결국 전문가 사이에선 무엇 보다 절도범에 대한 처벌 강화가 실효적인 대책으로 거론된다. 미술품 회수 회사인 아트 리커버리 인터내셔널(Art Recovery International)의 설립자 크리스 마리넬로는 WSJ에 “문화유산 절도를 ‘문화 테러리즘’으로 보고 처벌을 강화한다면 상황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상황에서 왕실 보물 사건은 대통령 책임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극우 정당인 국민연합(RN)의 조르당 바르델라 대표는 X(옛 트위터)에 “루브르는 우리 문화의 세계적 상징이며 이번 사건은 우리나라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욕이다. 국가의 부패가 어디까지 간 것인가”라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비판했다. 같은 당 소속 장 필립 탕기 의원도 “프랑스가 범죄에 관대한 게 이번 절도 사건의 이유”라며 마크롱 정부의 형사정책을 비난했다. 다만 사회당(PS) 소속 프랑수아 올랑드 전 대통령은 “논쟁을 조장하지 말라”며 자제를 촉구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