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건희가 블랙핑크 막았다? 백악관 공연 무산 진실

2025-02-19

재작년 4월 말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양국 문화행사로 검토됐던 블랙핑크와 레이디 가가의 백악관 합동 공연 무산을 두고 야당이 ‘김건희 여사 개입설’을 꺼내 들었다. 국정원 출신인 더불어민주당의 박지원, 박선원 의원은 최근 일부 유튜브와 CBS라디오에 나와 “김건희 여사가 젊은 여성들이 있는 걸 싫어해 (공연을) 막았다”“김 여사가 무산을 시켰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관련 사정을 아는 복수의 전·현직 대통령실 관계자 등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합동 공연이 무산된 것은 비용 문제 때문이었고, 김 여사도 반대하지 않았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한 친윤계 국민의힘 의원은 19일 통화에서 “당시 블랙핑크는 별도 개런티를 받지 않겠다고 했지만, 그 외에 스태프와 공연 준비 비용, 레이디 가가 초청 비용 등을 양국 정부가 감당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재작년 미국 국빈 방문은 극비리에 진행됐다. 1년에 두 명의 해외 정상만 가능한 예우라 미국 측은 공식 발표 전까지 대통령실에 함구를 요청했다. 그러던 와중에 국빈 방문을 2개월 가량 앞둔 2023년 2월초에 백악관에서 주미 한국대사관에 “이스트윙(East Wing)의 의중이 담겼다”며 블랙핑크와 레이디 가가의 백악관 합동 공연을 제안했다고 한다. 백악관 이스트윙은 미국 영부인 집무실로, 조 바이든 당시 미국 대통령의 부인인 질 바이든 여사가 큰 관심을 보인다는 뜻이었다. 전직 대통령실 관계자는 “조 바이든의 손녀가 블랙핑크의 팬”이라고 했다.

하지만 미국 측의 제안에 대통령실의 고심은 오히려 깊어졌다. 국빈 초청의 비용은 모두 초청국이 내는데, 백악관 합동 공연에 한해서는 레이디 가가는 미국 측에서, 블랙핑크는 한국 측에서 비용을 반반씩 분담하자고 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이라 생각했고, 대안을 모색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측 제안에 대한 윤 대통령 보고도 늦어졌다. 그러다 2월 말쯤 외교부 한 당국자가 윤 대통령에게 합동 공연에 대한 미국 측 제안을 전달했고, 이 사실을 뒤늦게 파악한 윤 대통령이 보고 누락과 관련해 국가안보실 관계자들을 질책했다.

윤 대통령은 그 뒤 “미국 측 제안을 무시하는 건 결례가 될 수 있다”며 합동 공연이 가능한지 검토를 지시했으나, 역시 비용이 발목을 잡았다. 블랙핑크는 공연 성격을 고려해 별도의 개런티를 받지 않겠다고 전했지만, 공연 시설 준비와 스태프 이동 비용만 해도 최소 수억 원에 달했다. 미국 측에서 레이디 가가를 섭외하는 것도 계획대로 풀리지 않았다. 대통령실 참모는 “합동 공연을 위해 국민 세금을 쓰거나, 기업 후원을 받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결국 최종 논의 단계에서 합동 공연은 안 하기로 정리가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후 보고 누락 논란이 커지며 그해 3월 말 김성한 전 국가안보실장 등 외교 참모 일부가 사의를 표했다.

여권에선 야당이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에 이어 2년 전 블랙핑크 논란까지 꺼내며, 김 여사를 공격하는 것에 대한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고 있다. 보수의 약한 고리인 김 여사를 다시 정치판에 끌어들여 국회 탄핵 이후 결집한 보수 지지층을 분열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김 여사는 지난해 7월 검찰에서 명품백 및 주가조작 수사를 받은 이후 대외 활동을 사실상 중단하고 관저에 칩거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근거 없는 가짜 뉴스를 퍼트리는 것에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