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문화' 지고 '자기관리' 떴다…자영업 창업 '지각변동' 뚜렷

2024-07-02

최근 몇 년간 대중의 소비 트렌드가 급변하면서 자영업자들의 창업에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가 완전히 자리 잡으며 온라인으로 물건을 파는 통신판매업 사업자가 대폭 늘어났다. 반면 주점이나 노래방 등 ‘밤 문화’를 대표하는 업종 기피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 2년 전 본격 엔데믹이 시작된 이후엔 피부관리업·헬스업 등 자기관리 업종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코로나19 여파로 통신판매업 증가 폭↑

1일 국세청의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한 결과 최근(4월) 전체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는 304만8991명을 기록했다. 40개였던 업종이 100개로 확대된 후 4월 통계가 처음 집계된 2018년(223만5689명)과 비교해 36% 늘었다. 100대 생활업종은 소매·음식·숙박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품목이나 서비스를 판매·취급하는 업종으로 구성되며 자영업 창업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6년 전과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이 늘어난 건 통신판매업이다. 2018년과 비교해 사업자 수가 218%(19만5073→62만200명) 늘었다. 과거엔 한식전문점에 밀려 2위였지만 4월 기준 2022년부터 꾸준히 1위를 지켜오고 있다.

연간 신규 사업자 추이에선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쭉 1위를 기록 중이다. 다만 2018·2019년에는 통신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18%, 23% 수준이었다면 코로나19 직후인 2020년 32% 수준으로 뛰었고, 지난해 37%까지 확대됐다. 국세청은 “온라인 플랫폼의 지속적 성장과 비대면 경제 확산 등으로 오프라인 매장은 감소한 반면 통신판매업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풀이했다.

호프집·노래방↓ 피부관리업·스크린골프↑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후 반등할 것으로 기대했던 놀이·유흥 시설 업종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간이주점 사업자 수는 6년 전과 비교해 40%(1만6154→9644명) 감소해 전 업종 중 하락 폭이 가장 컸고, 호프전문점과 노래방도 각각 33%(3만5987→2만3965명), 18%(3만1833→2만6250명) 줄었다. 연간 신규사업자 분포를 봐도 시들해진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엔데믹 직후인 2022년 4월 세 업종 모두 소폭 늘었으나 이듬해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이재인 한국코인노래연습장협회 이사는 “코로나19 전과 비교해도 매출이 20% 가까이 꺾였다”며 “경기가 좋지 않은 데다가, 회식 문화가 줄어들면서 밤 10시 이후면 다들 집으로 돌아가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피부관리업이나 헬스 등 자기관리 관련 업종 사업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4월 피부관리업 사업자 수는 6만4716명으로 6년 전(3만130명)보다 115% 늘었다. 통신판매업과 펜션·게스트하우스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증가 폭이다. 순위도 2018년 17위에서 올해 9위로 껑충 뛰었다. 실내스크린골프점(102%)과 헬스클럽(93%)도 증가 폭이 컸다. 국세청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가 건강과 자기관리에 투자하는 시간이 많아진 데 따른 변화라고 보고 있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자기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진 부분도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자기계발↑…학령인구 감소로 독서실·PC방·노래방↓

자기계발 관련 업종도 인기다. 기술 및 직업훈련학원 종사자 수는 2018년 4월 1만1121명에서 올해 4월 2만3635명으로 113% 증가했다. 취업난으로 실용적인 기술을 연마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 데다 정부가 재취업 교육 지원을 강화하며 나타난 결과라는 풀이가 나온다.

한편, 저출산·비혼 문화 확산으로 관련 생활업종 사업자 수는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 예식장업은 2018년 1019명에서 올해 714명으로 30% 감소했고 같은 기간 학령인구(6~21세) 감소로 독서실은 35%, PC방은 27%, 노래방은 18% 줄었다. 2018년 생활업종 상위 7위였던 분식점은 차츰 순위가 떨어져 2023년 10위에 안착하더니 올해 12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나왔다.

학령인구는 2013년 939만7000명에서 지난해 730만2000명으로 줄었고, 2033년엔 526만1000명까지 급감할 전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김문태 연구위원은 '자영업 생태계 변화와 상생 실효성 제고 방안' 보고서에서 “저출산 및 학령인구 감소가 자영업 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인구 감소에 취약한 업종의 구조조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