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인터넷신문]최근 당뇨 환자들 가운데는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팔에 부착한 채, 음식을 섭취했을 때 혈당 수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센서 기반의 실시간 생체 데이터 측정 기술은 치유농업 현장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 신호를 추적하는 도구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심박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이다.
HRV란 심장의 박동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미세하게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맥박이 일정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심장 박동 간격이 끊임없이 달라지고 있다. 이 변동성은 자율신경계, 즉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을 반영한다.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이 빠르고 일정하게 뛰며, 부교감신경이 우세할 때는 박동 간격이 여유롭게 변한다. 따라서 HRV가 낮다는 것은 스트레스가 높고 긴장된 상태임을 뜻하며, HRV가 높다는 것은 몸과 마음이 안정되고 회복력이 큰 상태를 의미한다.
치유농업 현장에서 HRV 모니터링은 참가자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참가자가 농장에 들어와 처음 흙을 만질 때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작물을 심거나 동물을 돌본 뒤의 HRV 수치를 비교하면 프로그램의 효과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예를 들어, 한 대학 연구팀이 치유농업 프로그램 참가자들에게 손목형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시킨 결과 2시간의 원예 활동 이후 HRV가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기분 전환을 넘어 생리적으로도 긴장이 풀리고 회복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HRV 기반 모니터링의 장점은 첫째, 객관성이다. 참가자 스스로 “좋았다”거나 “편안하다”고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반면 HRV는 생리학적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에 스트레스 반응을 보다 정확하게 포착한다. 둘째, 실시간성이다.
농장에서 씨앗을 심거나 가축을 만질 때, 혹은 휴식을 취할 때마다 나타나는 미세한 신체 반응을 즉각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셋째, 비침습성이다. 혈액 채취나 전문적 검사 없이 손목 밴드나 패치형 센서만 부착하면 된다. 이는 농업 활동과 자연스럽게 병행할 수 있는 큰 장점이다.
물론 한계도 존재한다. 치유농업은 야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땀, 온도 변화, 신체 활동량 등으로 인해 데이터에 노이즈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HRV 수치는 개인의 기초 체력, 수면 상태, 약물 복용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어 단순 수치만으로 치유 효과를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HRV 데이터는 설문조사, 인터뷰, 다른 생체지표(예: 피부 전도도, 피부 온도)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RV 모니터링은 치유농업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로 평가된다. 네덜란드와 영국 등 유럽의 케어팜에서는 이미 HRV 센서를 활용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연구진들이나 치유농업 현장에서 일부 활용하고 있다.
치유농업 현장에서 프로그램에 따른 참가자들의 HRV 변화를 집단적으로 분석한 자료들이 축적되고, 이를 평가한 자료들은 프로그램 설계에 반영되고, 치유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HRV 기반 스트레스 모니터링은 치유농업이 단순한 체험이나 여가 활동이 아닌, 과학적 근거를 가진 치유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 치유농업의 미래는 참여자의 경험적 만족과 더불어, 이러한 객관적 지표를 통해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 데 달려 있다. 따라서 HRV를 비롯한 다양한 생체센서 기반 평가 방법은 향후 치유농업 연구와 현장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확산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주. 2025. 치유농업에서 바이브라이미지 활용과 생명 윤리 준칙.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 칼럼(2025-07-30).
Sundas, A., I. Contreras, I. Navarro-Otano, J. Soler, A. Beneyto, and J. Vehi. 2025. Heart rate variability over the decades: a scoping review. PeerJ 13:e19347 https://doi.org/10.7717/peerj.19347
Ravenswaaij-Arts, C.V., L. Kollee, J. Hopman, and G.B.A. Stoelinga. 1993. Heart Rate Variabilit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8(6):436-47.
Malik. M. and A.J. Camm. 1993. Components of heart rate variability--what they really mean and what we really measure. Am. J. Cardiol 72(11):82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