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TSMC 등 세계 10대 반도체 기업의 지난해 설비투자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고 1년 전에 비해서도 투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수요가 인공지능(AI)으로 집중되면서 스마트폰과 전기차(EV) 부문이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미국·유럽·한국·중국·대만·일본의 반도체 대기업 10곳의 지난해 설비투자 내역을 분석한 결과 총금액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1233억 달러(약 180조 원)를 기록했다. 지난해 5월까지만 해도 이들 10개사의 2024년도 설비투자 계획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328억 달러였으나 최종적으로 약 95억 달러 줄었다. 이들 10개 회사의 투자 실적은 2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반도체 업계는 2023년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스마트폰·PC 특수가 끝나자 투자를 전반적으로 줄였다. 2024년에는 시장 회복을 기대하며 낙관적인 계획을 세웠지만 수요 침체가 이어지면서 투자를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텔은 당초 300억 달러 이상으로 예상했던 투자를 250억 달러 수준으로 20% 이상 줄였다. 인텔은 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 부문의 손실이 확대돼 지난해 3분기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하는 등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삼성전자도 2024년 반도체 투자를 2023년 대비 1% 감소한 350억 달러 수준으로 조정했다. 당초 계획과 비교해도 20억 달러가 줄어든 수치다. 삼성전자의 설비투자액이 직전 해보다 감소한 것은 5년 만에 처음이다.
유럽과 미국에서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면서 차량용 반도체 투자도 위축되고 있다. 세계 최대 차량용 반도체 기업인 독일의 인피니언은 지난해 9월 기준 설비투자액이 전년 대비 8% 감소한 29억 달러를 나타냈다. 2023년 11월만 해도 2024년 투입 자금이 역대 최고치인 35억 달러로 예상됐었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공장의 가동률은 현재 70% 수준으로 ‘건전성’ 기준이 되는 80%를 밑돌고 있다. 닛케이는 “반도체의 수요 침체와 생산능력 과잉이 겹쳐 각 사가 2024년 설비투자의 재검토를 강요받았다”고 짚었다. 반면 AI용 반도체 수요를 확보한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는 30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해 AI 반도체 생산능력을 늘리고 있다. SK하이닉스도 2028년까지 5년간 반도체 사업에 약 103조 원을 투자해 AI용 메모리 증산에 나선다. 영국 조사 업체 옴디아의 미나미카와 아키라 연구원은 “중국의 신규 공장 투자 속도가 둔화되고 있어 올해도 세계 반도체 투자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