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아카데미 제12기 1학기 5강 서강대학교 박현도 교수

“미국은 더 이상 우리가 알던 초강대국이 아닙니다. 지금은 새로운 세계 질서로 넘어가는 혼돈의 시기입니다”
22일 전북일보사 2층 우석대 공자아카데미 중국문화관 화하관에서 열린 리더스아카데미 제12기 1학기 5강에서는 서강대학교 박현도 교수가 '중동정세의 이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박현도 교수는 이날 21세기판 ‘명·청 교체’에 비견되는 국제 질서의 재편 가능성을 제기하며 ‘중동 정세로 읽는 세계질서의 변화’를 주제로, 미국의 패권 약화와 중동·중국의 부상을 중심으로 날카로운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미국은 세계를 주도하던 기존 질서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이제는 우리가 기대고 따르던 기존의 미국이 아니라, 국익만을 내세우는 초조한 강대국으로 바뀌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 1985년 플라자 합의를 시작으로 미국이 일본을 누르기 위해 환율을 강제 조정했고, 이 여파로 반도체 산업이 한국과 대만으로 옮겨가며 삼성의 부상이 시작됐다는 점을 언급하며 미국 주도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 2001년 9·11 테러 이후 시작된 아프간·이라크 전쟁이 미국의 몰락을 예고했다고 지적했다. “들어가지 말았어야 할 전쟁이었고, 결국 6600조 원의 전쟁비용만 남겼다”며, “이후 중국은 WTO 가입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고, 미국은 본격적으로 중국 견제에 나서면서 중동에서 아시아로 전략 초점을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중동의 지정학적 가치도 강조했다. “셰일가스 개발로 미국이 에너지 자립을 이루면서, 중동은 더 이상 절대적 전략지대가 아니게 됐다”며 “이란, 사우디, 이스라엘 등과 얽힌 핵 문제·무역 질서·에너지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중동은 다시 국제정치의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했다.
이란 핵 문제 해결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이란은 사실상 핵무기 개발 능력을 갖춘 국가로, 이 문제가 풀려야 우리 기업, 특히 중소기업들이 경제 기회를 회복할 수 있다”며 “대이란 외교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끝으로 “국제질서가 요동치는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이념이 아니라 현실에 기반한 외교 전략”이라며 “우리는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며 국익을 실현해야 한다. 냉철한 판단과 과학기술 중심의 경쟁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종호 lee7296@naver.com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