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44년 된 보일러 타워를 철거하던 중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해체·철거 공사는 붕괴 등 대형 사고를 수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지만 공사 중 재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다.
9일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을 통해 분석한 건설사고 사례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토목과 건축 공사 종류의 해체 및 철거공사에서 총 174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로 발생한 노동자·민간인 등 재해자는 총 16명이다.
토목·건설 해체 및 철거공사에서는 2020년 243건(18명), 2021년 194건(32명), 2022년 207건(16명), 2023년 231건(22명), 2024년 261건(14명) 등 매년 약 200건의 사고와 두 자릿수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국재난정보학회가 지난 6월 발간한 '국내 건축물 해체공사 시 재해현황 분석과 안전관리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최근 5년간 해체공사 관련 재해는 연간 120건 이상으로, 사망률은 전체 건설업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사고의 경우 대부분 중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했고 특히 50억 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에서 전체 사망사고의 70% 이상이 발생했다.
해체·철거 공사는 붕괴 등 대형 사고를 수반할 수 있는 만큼 그 위험성은 이전부터 지적됐다. 고용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지난 2017년 '철거·해체공사 표준작업안전 절차서' 발간 당시 "앞으로 중·고층 건축물의 해체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철거·해체로 인한 대형 안전사고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향후 해체공사 과정에서 적절한 재해예방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제도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잘 이행되는지 점검하고 이행력을 높이도록 지원하는 것이 실효성을 제고할 방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점검을 강화하고 점검하는 이들의 자격 기준을 제고하는 등 해체계획서가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될 수 있게 지원해 제도가 정착하도록 해야 한다"며 "사고가 대부분 영세 업장에서 발생하는 만큼 이들의 이행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고 원청의 하청업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도록 시스템적으로 접근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





![[솔선수법] ‘산재와의 전쟁’서 살아남는 방법](https://newsimg.sedaily.com/2025/11/09/2H0DYWA7F6_1.jpeg)

![인천공항, 겨울맞이 '제설종합훈련' 현장[스튜디오486]](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8/310967c6-e65a-4d68-87d1-4a3efbf89b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