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후 5시 25분 기울기 센서 경보로 구조 작업이 중단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대원을 동원한 수색 작업은 당분간 중지된다. 다만, 드론 등을 활용한 수색활동은 이어지고 있다.
소방당국은 9일 오전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야간에 내린 비, 현재 불고 있는 바람, 사고 발생 전 진행되었던 취약화 작업을 고려해 볼때 붕괴 위험성이 높아 내부 수색작업은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향후 취약화 작업이 시작되면 붕괴 위험성으로 구조대원의 활동도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9일 오전 8시 10분부터 드론으로 수색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취약화 작업이 시작되더라도 드론 수색은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실종자 구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고 인근 보일러타워 4·6호기도 해체하기로 했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전날 오후 11시 가족 대표가 참여한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4·6호기는 이미 취약화 작업이 진행돼 추가 붕괴 위험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소방당국은 무너진 타워 잔해의 추가 붕괴 위험을 우려해 구조 인력과 장비를 긴급 철수시킨 상태다.
울산에는 전날 오후부터 밤사이 18㎜의 비가 내려 현장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현장에서 사고를 당한 9명은 모두 코리아카코 소속이다. 현재까지 2명 구조, 3명 사망, 2명은 사망 추정, 2명은 실종 상태다.



![[종합] 서해 공해상서 중국어선 전복…중국인 2명 사망·3명 실종](https://img.newspim.com/news/2025/11/02/2511021102262810.jpg)

![인천공항, 겨울맞이 '제설종합훈련' 현장[스튜디오486]](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8/310967c6-e65a-4d68-87d1-4a3efbf89b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