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시즌 국내 레이싱 드라이버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선수가 있다면 바로 오네 레이싱 소속의 이정우다.
먼저 일본에서는 와이마라마 레이싱 소속으로 ‘슈퍼 다이큐 시리즈’ ST-TCR 클래스의 2년 연속 챔피언을 겨냥하고 있으며 아시아 권역을 무대로 한 ‘람보르기니 슈퍼 트로페오 아시아’에서는 피터와 듀오를 이뤄 ‘람보르기니 분당 바이 레이스그래프의 이름, 그리고 스스로의 ‘GT 카테고리의 경쟁력’을 연이어 입증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주말, 이정우는 국내 모터스포츠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슈퍼레이스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 5라운드에서 2위로 포디엄에 오르며 다시 한 번 트로피를 높게 들어 올렸다.
경기가 끝난 후 이정우를 만나 이번 경기, 그리고 ‘레이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Q 먼저 오늘 경기 소감이 궁금하다.
이정우(이하 이): 2등을 해서 너무 기쁘다. 일단은 그렇지만, 오늘은 정말 힘든 레이스를 했던 것 같다.
솔직히 펑처가 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태였다. 펑처가 났다고 생각도 했다. 차가 진짜 직선에서 옆으로 쏠렸다. 이거는 안 되겠다 싶었는데, 엔지니어의 무전을 동아줄 삼아 버텼다. 정말 마지막까지 주행을 이어가면서 ‘조금만 더 버텨라, 조금만 더 버텨라’라며 마지막까지 달렸다.
Q 심리적으로 여유가 없을 때 실수도 많아진다. 어떻게 관리했나.
이: 올해 여러 레이스를 나가며 정말 다양한 경험을 많이 했다.
인터뷰로는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굉장히 다양한 경험을 했는데, 그 경험이 밑거름이 돼서 사실 당황하지는 않았다. 그냥 ‘아, 이것도 있을 수 있는 상황 중에 하나구나, 나한테 이런 일이 닥쳤구나, 그냥 버티자’ 이런 생각밖에 없었다.

Q 오늘 언더컷을 했는데 타이어를 바꾸지 않았다. 원래 바꾸려 하지 않았었나.
이: 그것도 전략에 있었지만, 안 바꿔도 되겠다 싶어서 그냥 언더컷으로 갔다. 힘든 레이스였지만 그 전략은 좋았던 것 같다. 타이어까지 바꿨다면 주행이 더 편했을지 모르지만 더 높은 순위는 어려웠을 거 같다.
Q 작년 스프린트 레이스와 올해 세미 내구 레이스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나.
이: 내용에서는 아쉬운 부분도 있고, 힘든 상황도 이어지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내구 레이스를 무척 선호한다. 스프린트는 스타트에서 5랩 만에 승부를 봐야 해서 모든 드라이버의 초점이 스타트 직후 5랩에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나는 그것도 잘한다고 자부하고 있지만 내 최고의 강점은 바로 ‘레이스 운영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구현’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걸 원하는 대로 ‘매니지먼트’를 할 수 있다는 점도 내 강점이기에 ‘내구 레이스’를 더 선호한다.
주변의 탓을 하기 보다는 ‘내 강점, 그리고 해낼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올 시즌을 내가 생각하는 대로, 팀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풀어가고 있다.

Q 올해 매니지먼트가 돋보이는 시즌이다. 다른 카테고리에서의 경험들이 서로 도움이 되는가.
이: 굉장히 많이 도움이 되고 있다. 오늘 같은 경우에도 뒤에 최강빈 선수가 쫓아오는 상황이었는데, 엔지니어는 랩타임을 더 끌어올리라, 타이어를 소모하는 방식으로 풀어가자고 제안했다.
그런데 나는 그거에 반대하며 “이건 무조건 버티는 게 맞다”고 논의를 했다. 개인적으로 최광빈 선수가 나와의 5초 갭을 줄이기 위해 페이스를 끌어 올리게 되면 타이어 소모로 결국 ‘추월’을 못할 것이라 확신했다.
그리고 실제 그렇게 레이스가 흘러갔고, ‘다양한 카테고리의 경험’의 결과라 생각한다.


Q 오늘 전체적인 계획은 어땠나.
이: 오늘 전체적인 계획은 사실 3등 포디움이 목표였다. 앞에 금호 두 대는 정말 6천 클래스여서 못 쫓아가는 상황이었다. 넥센 타이어 진영 안에서만 선두 자리를 지키자 이런 생각으로 주행했다.
굉장히 빠른 언더컷 또한 그런 전략이었다. 앞선 순위의 선수들을 추격하는 의미 보다는 언더컷을 활용해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의 ‘하위권’ 선수들과 엉키지 않고 쾌적한 상황에서의 주행을 도모했다.
다행히 전략을 잘 먹혔다. 실제 피트 스탑 이후 ‘순위 경쟁’은 전혀 없이 마지막까지 홀로 달리며 페이스 조절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었다. 전략이 잘 되었고, 목표 순위보다 한 단계 올라 만족한다.
Q 갑자기 기온이 낮아졌다. 어려움은 없었을까?
이: 기온이 떨어졌기 때문에 분명히 타이어들에 이상이 생길 거라는 생각이 있었다. 근데 그게 우리 진영이 이렇게 힘들 줄은 몰랐다. 그걸 예상하거나 산출할 수는 없는 거다. 그게 레이스이고 그래서 ‘실력’을 키워야 한다.

Q 슈퍼 트로페오, TCR 등 출전 카테고리가 다양하다. ‘적응의 어려움’, 혹은 ‘부정적인 영향’은 없을까?
이: 다른 선수들은 어떻게 느낄지 모르겠지만 나는 문제가 없는 것 같다. 드라이버마다 주행법이 다르기는 하지만, 내가 가진 드라이빙 사상은 모든 차는 다 똑같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F1와 스톡카를 함께 타게 되더라도 같다고 생각한다.
결국 주행을 하며 ‘가속 구간’을 넓게 가져가고 정확한 제동을 하고 정확한 조향을 하는 것, 그거는 다 똑같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드라이버는 기회가 왔을 때 타면 탈수록 빨라질 거고 타면 탈수록 성장할 거라고 생각해서 많이 경험하고 있다.

Q 올해 성적이 만족스럽지는 않겠지만, 포인트 획득 편차가 줄어들었다. 신경 쓴 게 있나.
이: 사실 올해 내구 레이스 들어오면서 신경 쓴 부분은 첫 랩에 너무 인생의 모든 걸 걸지 말자는 거다. 물론 나도 다른 선수에게 양보하거나 이러지는 않는데, 사실 전체를 생각해 보면 첫 랩에 모든 걸 걸 필요는 없지 않은가
레이스는 길다. 충분히 매니지먼트할 수 있다는 자신이 있기 때문에, 페이스에 대한 자신 그리고 작전에 대한 자신 다 있기 때문에 항상 살아남아서 끝까지 달리면서 뭔가를 이뤄내고, 의미를 남기는 레이스를 하고 싶다.

Q 남은 시즌들은 어떻게 운영할 계획인가.
이: 남은 시즌들은 지금껏 싸워온 것처럼 싸워갈 것이다.
나는 항상 제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살아남는 레이스, 부러지지 않는 레이스를 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성적이 나외 않는다고 흔들릴 생각이 없다. 앞서 말한 것처럼 ‘체커’의 순간은 아직 멀리에 있다.
Q 여름 휴식기는 어떻게 보낼 예정인가.
이: 일단은 좀 쉴 것이다. 너무 매주 레이스를 해서 힘들지는 않지만, 좋아하는데도 심적으로도 그렇고 이제 할 일도 태산처럼 쌓여 있고 조금 집에서 편안하게 보내면서 운동도 좀 하고 먹고 싶은 것도 좀 먹고 컨디셔닝을 할 예정이다.

Q 마지막으로 팬들에게 한마디 해 달라.
이: 응원해 주신 팬분들 너무 감사하다. 현장에 정말 많은 분들이 와주셨다. 오늘 진짜 힘들었는데, 응원해주시는 사람들 생각을 하면서 마지막 한 랩을 버틴 것 같다. 정말 감사하다. 곧 포디엄 정상에서 인사 드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