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년간 지식을 축적하며 발전해 온 학문?

2025-04-21

얼마 전에 출간한 책에서 “수학은 수천년간 지식을 축적하며 발전해 온 유일한 학문이다”라는 말을 썼다. 어떤 분이 이 책에 대한 리뷰를 SNS에 올렸는데, 이 책 내용이 아주 좋지만 흠이 한 가지 있다며 내가 쓴 이 말을 지적했다. 인문학과 철학의 역사를 너무 무시한 것 같다고 한다. ‘이 말’은 과연 좀 지나친 말일까?

내가 한 이 말을 처음 듣는 사람들의 반응은 대체로 비슷하다. 오래된 학문들도 많은데 오직 수학만이 오래된 것처럼 말하는 건 좀 이상하다고 느낀다. 실은 나는 약 30년간 수학사 강의를 해 오면서 강의 첫 시간에 반드시 이 말을 강조한다. 수학이라는 학문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말에 대한 사람들 반응의 예를 들자면 “철학도 수천년간 발전해 왔다” “건축학, 천문학 등도 오래된 학문이 아니냐” “다른 학문을 무시하는 것 같다”는 것들이 있다. 심지어는 “수학은 수라는 개념이 생긴 이후에 발전한 것이지만 물리학은 그 이전부터 발전해 왔다”고 말하는 분도 있었다. 듣는 이가 한 문장을 단어 하나하나를 따져가며 듣는 것은 쉽지 않고 이 말을 그저 영역 이기주의적 발상이라고 여기기 쉽다.

그럼 과연 수학만이 수천년간 지식을 축적하며 발전해 온 학문인가? 우선, 이 말은 수학이 ‘아주 오래전부터 발전해 왔다’가 핵심이 아니다. ‘지식을 탑을 쌓듯이 축적하며’ 발전해 왔다는 것에 방점이 있다. 지금은 대부분 학문이 지식을 쌓으며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수천년 전부터 그런 방식으로 발전해 온 학문은 흔하지 않다. 철학의 예를 들면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보다 후대의 철학자가 더 낫다고 할 수 없고 데카르트, 칸트보다 현대의 철학자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지만 수학은 다르다. 철학은 지식을 쌓으며 발전하는 학문도 아니다. 그런 면에서 유구한 역사를 가진 대부분의 인문학이나 법학도 이와 유사하다.

천문학과 수학은 한 몸이었다

그럼 자연계열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의학, 천문학, 물리학, 건축학, 생물학, 공학 등은 어떠한가? 이 중 천문학을 제외하고는 모두 다 불과 수백년 전에 새로운 학문으로 탄생했거나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문으로 거듭난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는 수학을 기하·산술·천문·음악의 4개 분야로 나누었고 그 이후 유럽에서는 이 넷을 수학의 근간으로 여겨 왔다. 즉 천문학은 오랫동안 수학과 한 몸이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학자로 꼽히는 가우스(1777~1855)의 직업은 대학의 천문대장이었고 평생 천문학을 연구했다. 하지만 천문학조차도 지동설 이후에 그 이전의 이론을 다 버리고 새롭게 태어났다고 볼 수 있다.

나는 결코 수학만이 위대하다거나 다른 학문은 수학만 못하다는 뜻으로 이 말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이 말이 수학의 속성을 잘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강조하는 것이다. 수학에서는 수천년 전에 발견된 피타고라스 정리가 아직도 진실이고 거의 모든 수학적 지식은 그다음의 지식을 얻는 데에 발판이 돼 왔다. 2000년 전의 수학, 1000년 전의 수학 수준이 어느 정도였고 수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는지 우리는 기록을 통해 잘 알고 있다. 또한 300년 전 오일러의 수학, 200년 전 가우스의 수학, 150년 전 리만의 수학, 100년 전 힐베르트와 푸앵카레의 수학을 이해해야 현대 수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어느 학문 분야가 더 중요한지 따지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역사가 더 길다고 해서 더 위대한 학문인 것도 아니다. 나는 수학적 지식은 위계가 분명해서 그 전의 지식이 있었기에 그다음 지식을 얻을 수 있었고, 수학은 오랫동안 탑을 쌓듯이 발전해 왔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수학은 크고 높은 지식의 탑

수학이 쌓은 지식의 탑은 크고 높다. 그래서 수학적 지식이 과학기술에 적용되는 데에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 수학자들에게 “당신의 연구가 어디에 활용되나요?”와 같은 질문은 할 필요가 없다. 수학이 순수한 진리 탐구에 바탕을 두고 있기도 하거니와 수학은 일찍 출발해 저 앞 멀리서 걸어가고 있는 형국이다.

현대의 수학은 누구에게나 어렵다. 오랫동안 수많은 천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학도 이제는 새로운 인공지능(AI) 시대의 개막과 함께 새로운 출발을 준비할 때가 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