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은 궁극적 목표이자 헌법 책무"
"북한과 언제든 대화할 준비"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튀르키예 국빈 방문을 앞둔 23일(현지시간) "한국과 튀르키예는 글로벌 차원의 혁신과 투자, 경쟁을 함께 추구하는 전략적 파트너"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튀르키예 통신사 '아나돌루'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방산과 원전, 바이오헬스, 인공지능(AI), 재생에너지 등 분야에서 튀르키예와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의 산업 구조는 상호보완적 관계"라며 "기술·생산·판매에 이르는 끊김 없는 공급망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 방산 협력의 대표 사례가 바로 알타이 주력전차 생산 프로그램"이라며 "방산 분야에서의 협력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계속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협력의 범위를 원자력에너지, 바이오헬스, 디지털전환,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AI) 등 미래 지향적 산업까지 포함하는 방향으로 넓혀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적인 수준의 한국 원전 기술과 안전한 운영 능력을 바탕으로, 튀르키예의 원자력 발전 역량 제고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튀르키예가 소형모듈원전(SMR) 도입과 관련된 자체 로드맵을 구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 계획이 보다 명확해지면 한국은 관련 정부를 공유하고 미래 협력 가능성을 함께 모색할 준비가 돼 있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또 "통일은 여전히 우리의 최종 목표"라며 "이는 단지 이상적 지향이 아니라 한국 헌법에 명시된 책무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일방적 방식의 통일을 지향하지 않는다"며 "한반도 전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평화로운 공존과 상호 발전을 통해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모든 소통 채널이 끊겼고, 상호 신뢰는 크게 훼손됐다. 대화를 다시 여는 일이 저에게 가장 중요한 우선 과제 가운데 하나"라며 "우리는 북한과 언제, 어떤 채널을 통해서라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으며, 대화의 문은 계속 열려 있을 것"이라고 했다.
parksj@newspim.com




![한미 협상 타결, 샴페인에 취할 때 아니다[이태규의 워싱턴 인사이드]](https://newsimg.sedaily.com/2025/11/23/2H0KEKW4GH_1.jpg)
![여한구 본부장 “美 고관세 정책, 정권 바뀌어도 지속될 것”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2/2H0JWKZT1G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