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21만 시대…사전 찾고 텃밭 가꾸는 이 학교

2025-11-14

초등학교 5학년 딸을 둔 한모(47·서울 은평구)씨는 혹시나 딸이 디지털 과몰입에 빠지진 않을지 걱정이다. 학원 버스를 기다리는 시간 등 잠시의 틈만 생기면 여지없이 스마트폰을 켠다. 올해부터 ‘가족들이 다 같이 모여 식사할 때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정했지만 소용없었다. 한씨 딸은 습관적으로 식탁 위 스마트폰을 들고서는 화면을 켰다 끄기를 반복했다. 한씨는 “하루는 친구들과 단지 내 놀이터에서 만난다고 해서 뛰어놀 줄 알았더니 옹기종기 모여 앉아 SNS 영상을 보고 있더라”고 했다.

한씨네만의 문제가 아니다. 청소년 6명 중 1명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인터넷·스마트폰을 사용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성평등가족부가 지난 6월 발표한 ‘2025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보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 비중은 17.3%(21만3243명)로 나타났다. 과의존 위험군은 위험사용자군(일상에서 어려움을 겪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 또는 주의사용자군(사용시간 조절이 어려워 주의가 필요한 수준)을 말한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학령 전환기(초등 1·4학년, 중1, 고1) 청소년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는데 초등 4학년 과의존 위험군은 5만7229명에 달했다.

스마트폰 사용이 학생 건강권과 학습권 등을 침해한다는 인식이 퍼지자 내년 1학기부터 초중고 수업 중 학생의 스마트 기기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까지 만들어졌다. 해당 법안은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무난하게 통과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스마트폰 없는 학교 만들기 운동’도 관심을 받고 있다.

법 통과 전부터 아예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학교가 있다. 대안교육기관인 고양발도르프학교다. 교실 안에는 흔한 전자칠판, 태블릿 하나 없다. 국·영·수, 제2 외국어 회화 등 수업 내용은 또박또박 판서로 전해진다. 학생들은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지 않는 대신 손으로 찰흙을 빚고 그림을 그린다. 때론 인형도 만들고 텃밭을 가꾸기도 한다. 개인 스마트폰 역시 갖고 있지 않다. 자연 다큐멘터리 시청 등 필요할 때만 각 가정에서 보호자 지도 아래 스마트 기기를 제한적으로 쓴다고 한다. 검색도 포털사이트가 아닌 사전으로 먼저 찾아보기를 권장할 정도다.

지난해 4학년으로 편입한 한 학부모는 “물그림 그리기, 현악기 연주 등 손끝으로 여러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아이가) 정서적으로 더욱 안정된 것 같다”며 “이를 통해 어제보다 성장한 자신을 발견하면서 자존감도 자랐다”고 했다. 이 학교 정미희 대표교사는 “아직 자신의 몸을 골고루 충분히 써야 하는 시기에 스마트폰을 조작하며 시간을 보내면 행하는 힘을 키울 수 없다”며 “또 판단하고 분별하는 능력이 성숙하지 않은 시기에 인터넷 정보에 무분별하게 노출될 경우 느끼는 힘, 생각하는 힘이 약해진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교내 제한이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해외에서도 점차 ‘퇴출’ 분위기다. 스마트폰 등 사용이 시력저하는 물론 수면 방해, 활동량 감소에 따른 과체중·비만 위험 등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인식에서다.

외신을 종합하면 실제로 프랑스의 경우 최소 11세 이전에는 휴대전화 사용 금지를 권고한 바 있다. 또 11~13세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일반 휴대전화를, 14세에는 SNS에 접속할 수 없는 휴대전화 사용을 각각 권고하기도 했다. 프랑스 교육부는 지난해 9월 등교할 때 휴대전화를 수거해서 하교 때 돌려주는 조치를 중학교에서 시범 실시했다. 당시 벨루베 교육장관 대행은 “학생들에게 ‘디지털 일시 정지(digital pause)’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독일 역시 대부분 학교에서 교육 목적 외 디지털 기기 사용을 금지 중이다. 영국 정부도 지난해 2월 ‘수업 시간 휴대전화 사용 금지에 관한 지침’을 발표했다. 이밖에 미국 로스앤젤레스(LA)는 지난해 공립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휴대전화 이용을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