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장명관 기자] 밈인덱스(Meme Index, $MEMEX) 사전 판매가 450만 달러를 모금한 후 종료했다. 4월 2일 UTC 2pm (한국 시간 2일 11pm)에 토큰 클레임 및 상장이 진행될 계획이다.
밈인덱스는 알고리즘 기반 리밸런싱, 바스켓 스테이킹, 시세 변동성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최초의 밈코인인 지수를 제공하며 개인 디파이 투자자를 위해 설계했다. 사전 판매를 종료하기 직전 최초 밈코인 라인업도 공개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밈인덱스 출시에 따라 어느 밈코인에 투자할 수 있을지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다음 일정은 $MEMEX 거래소 상장 및 토큰 클레임이다.
◆$MEMEX 밈코인 펀드에 들어갈 밈코인 공개
밈인덱스는 총 네 개의 밈코인 지수를 제공하며 각각 서로 다른 변동성 수준을 나타낸다. 개발팀은 엑스(전 트위터) 계정을 통해 10개의 밈코인이 4개의 밈코인 바스켓으로 분류되며 각 바스켓은 밈코인의 시가총액과 변동성 수준에 따라 정의된다고 밝혔다. 공개된 밈코인은 다음과 같다:
△도지코인 (DOGE)
△시바이누 (SHIB)
△페페 (PEPE)
△오피셜트럼프 (TRUMP)
△봉크 (BONK)
△플로키 (FLOKI)
△SPX6900 (SPX)
△파트코인 (FARTCOIN)
△도그위햇 (WIF)
△퍼지펭귄 (PENGU)
그동안 밈인덱스 사전 판매를 유심히 지켜보았다면 위의 밈코인이 우량주 중심 인덱스 밈 타이탄 지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했을 수 있다. 타이탄 지수는 지금 혹은 과거 시가총액 10억 달러를 넘었던 밈코인 위주로 구성했다.
밈 타이탄 지수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지수가 존재한다:
△문샷 지수 - 성장하는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는 유망 밈코인으로 최고의 밈코인 순위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
△미드캡 지수 - 위험성이 조금 더 높은 바스켓으로 과거 시가총액 5,000만 달러와 2억 5,000만 달러 사이의 범위를 달성한 적 있는 밈코인으로 구성
△밈 프렌지 지수 - 가장 변동성이 높은 지수로 시가총액 5,000만 달러 미만인 밈코인이 포함된다.
각각의 지수는 고유한 위험보상 프로필을 제공하며 투자자가 밈코인 시장의 다양한 영역에 투자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알고리즘 기반 리밸런싱과 전략적 변동성 관리 전략을 활용해 포트폴리오 안정성을 확보했다.
◆디파이와 밈코인을 연결하는 밈인덱스

밈인덱스는 나날이 정교해지는 디파이 시장에 적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알고리즘 기반 리밸런싱은 각각의 지수가 시장의 흐름에 적합한 최적의 자산 비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해 단일 자산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스켓 스테이킹은 투자자가 개별 코인이 아닌 전체 지수를 스테이킹해 패시브 인컴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변동성 조절 메커니즘은 동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해 위험성을 조절한다. 이러한 체계는 밈코인 시장의 급격한 시세 변동성에 대비해 더욱 안정적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게 지원한다. 밈인덱스 커뮤니티는 직접 지수에 추가할 프로젝트를 선정하거나 새로운 지수를 만들 권한을 가졌다.
밈인덱스 지수를 이용하려면 네이티브 토큰 $MEMEX가 필요하다. 밈인덱스 스마트 컨트랙트는 보안 회사 코인설트(Coinsult)와 솔리드프루프(SolidProof)의 감사를 완료했으며 코등에서 중대한 취약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토큰 클레임 및 상장 거래소에 관한 최신 정보는 밈인덱스 텔레그램 채널과 엑스(전 트위터) 채널에서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다.
info@blockchaintoday.co.kr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Tag
#밈인덱스 #Meme Index #MEMEX
저작권자 © 블록체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