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5월 황금연휴, ‘임시공휴일’ 지정될까?… 정부 결정 촉각
“소비 진작, 내수 활성화 기대 효과…해외여행 수요 이어질 가능성”
“자영업자, 관광업계, 제조업 등 이해관계자 목소리 종합해 접근해야”
5월 초 황금연휴를 앞두고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지 여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 월력요항에 따르면 올해 석가탄신일은 5월 5일(월요일)로 어린이날과 겹친다. 이에 따라 5월 6일(화요일)은 어린이날의 대체공휴일로 지정됐다.
여기에 5월 1일(목요일)은 근로자의 날로, 공무원과 교사 등 일부 직군을 제외하면 대다수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이 적용된다. 만약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1일부터 6일까지 최장 6일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현재까지 정부는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지난 1월에도 설 연휴를 앞두고 내수 진작을 명분으로 1월 27일(월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바 있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국내 소비보다는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실제로 지난 설 연휴 기간 중 내국인 출국자는 297만519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전월 대비 9.4% 증가했다.
비슷한 현상은 지난해 10월 1일 임시공휴일에도 반복됐다. 해당 달의 출국자 수는 238만5711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16.6%나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는 6월 3일 예정된 조기 대통령 선거일 역시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연이은 공휴일 지정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반면, 자영업자나 일부 업계에서는 소비 분산 및 내수 위축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는 여당과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인사혁신처가 국무회의 안건으로 상정하고,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이 같은 절차를 감안할 때 이번 주 안에 결정이 나지 않으면 사실상 지정은 어려울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이 단순한 휴일 확대를 넘어 경제적·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 경제 전문가는 “5월 초 황금연휴를 앞두고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며 “소비 진작과 내수 활성화라는 기대 효과도 있지만, 최근 사례들처럼 해외여행 수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설 연휴와 지난해 10월 임시공휴일 지정 이후 출국자 수가 크게 늘어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는 “6월 조기 대선과 맞물려 공공업무 차질이나 경제 전반의 효율성 저하도 정부가 고려해야 할 요소”라고 지적했다.
이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번 결정이 정책 목표인 내수 회복에 실질적으로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면밀히 따지는 것”이라며 “자영업자, 관광업계, 제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소리를 반영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