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주도 '제3자 결제서비스 정보보호' 국제표준 발간…네이버·토스 등 해외시장 진출 가속화

2025-09-14

우리나라가 주도한 '제3자 결제서비스 제공기관의 정보보호 지침'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 네이버·카카오·토스 같은 핀테크 기업의 보안 관리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돼 해외시장 진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금융결제원과 함께 지난 2022년 8월 국제표준화기구 금융서비스위원회(ISO/TC 68)에 제안한 표준안이 3년간의 논의를 거쳐 'ISO 18960'으로 발간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표준은 모바일·온라인 결제, 조회, 송금 등 제3자 결제서비스 전반을 포괄하는 보안 지침과 요구사항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개인식별 정보 관리 △관리자 접근통제 △보안구역 출입관리 △공급업체 보안관리 등이다. 시스템 개발과 테스트, 설치, 운영, 모니터링 단계까지 정보보호 조치를 명확히 규정해 서비스 안전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김대자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제표준 발간으로 국내 기업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품질과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해외 진출의 문턱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표준은 국내 네이버, 카카오, 토스뿐 아니라 페이팔, 알리페이 같은 해외 사업자들도 활용할 수 있어 국제 금융 서비스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