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비자 없이 중국 여행이 가능해졌다. 중국이 3일 한국 등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한시적 무비자 조치를 내년 말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하면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11년 만의 국빈방한(지난달 30일~1일)을 계기로 한·중 관계가 개선되는 흐름을 반영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별도 공지를 통해 올해 말로 다가온 한국 등에 대한 비자 면제 조치 시한을 내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중국과 외국의 왕래를 지속적으로 편리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 대한 일방적 무비자 정책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이번에 무비자 정책이 연장된 국가는 한국ㆍ일본을 포함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등 45개국이다. 중국은 스웨덴도 새롭게 무비자 대상국에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의 일반여권 소지자는 사업, 관광, 친지 방문 등이 목적인 경우 최장 30일간 중국에서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 대해 15일간 무비자 정책을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이 한국을 무비자 대상국에 포함한 건 1992년 8월 한ㆍ중 수교 이후 32년 만이었다. 같은 달엔 체류 기간을 15일에서 30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 이에 화답해 한국 정부도 올해 9월 말부터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
지난 1일 경주에서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인적·문화 교류 활성화에 대해 원칙적인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회담에서 시 주석은 “양국 간 대화 채널과 교류 메커니즘을 적극 활용해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1.5경 中 서비스시장 개방 ‘청신호’…알테쉬 무차별 역공 우려도[한중 정상회담]](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RCIS1V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