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전공 = 산업 전문성' 아냐…정책추진·시장 활성화 적임자 절실 [도약하는 K예술산업]

2025-04-28

최근 국립국악원 원장 선임과 관련한 논란은 예술기관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고 있다. 국립국악원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악 명인이라고 해서 기관 경영도 잘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예술단체·기관도 마찬가지다. 예술기관장의 출신이 ‘예술인이냐 비예술인이냐’는 논란은 핵심에서 벗어나 있다. 오히려 해당 분야 정책 수립과 시행, 예산 운용, 시장 활성화 등 예술 기관의 주요 역할을 어떻게 수행할 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8일 정부와 예술계에 따르면 국악 진흥을 위한 국립국악원의 역할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취임 직후인 2024년 1월 소속 기관인 국립국악원을 방문해 신년 업무보고를 받았다. 장관과 함께 제1차관, 문화예술정책실장, 예술정책관 등 문체부 예술 라인이 총출동했다. 당시 유 장관은 “K컬처의 근간이 국악 등 전통문화와 순수예술”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해 9월에 국악 활성화를 목표로 한 국악진흥법이 첫 시행됐다.

앞서 2020년 문체부는 국립국악원장 직급을 기존 2급에서 1급으로 상향했다. 1급 고위공무원의 역할과 비중이 훨씬 큼은 물론이다. 그리고 2024년 12월 국악원장 직위를 경력개방형(공직 외부 대상)에서 개방형(내부 공무원과 외부 일반인 모두 가능)으로 바꾸었다.

문체부는 국악진흥법에 따라 ‘제1차 국악진흥 기본계획(2025~2029)’을 추진하기로 하고 올해 4월 초안과 관련한 토론회를 열었다. 기본계획에는 국악 분야 전문 인력 양성과 예술단체 육성, 악기·악보·공연장 개발 연구, 국악문화산업 활성화, 국악 해외 진출 등 주요 정책이 담겼다. 국악원은 규모가 더 커지고 국내 전통 예술 산업의 핵심이 될 예정이다. 문체부는 기존 국립국악원 본원과 국립민속국악원·국립남도국악원·국립부산국악원 3곳 분원에 더해 2029년까지 강원분원 및 서산분원을 추가 건립할 계획도 밝혔다.

국악원장에 비국악인인 문체부 공무원이 선임될 수도 있다는 논란은 이러한 배경에서 불거졌다. 국악계 일부는 공무원의 원장 선임 가능성에 강력 반발했다. 다만 국악원은 원장 직위를 국악 중 ‘정악’ 위주의 특정 대학·학과가 30년 동안 독점하면서 정체돼 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민속악’ 등 다른 국악 분야와의 갈등도 적지 않았다.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4년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악 공연 매출(티켓판매액)은 49억 원에 불과했다. 전년 대비 3.3% 늘었다. 지난해 전체 공연 시장 매출이 1조 453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5% 증가한 데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국립국악원의 ‘국악연감’에 따르면 가장 최근 통계인 2023년을 기준으로 국악원 전체 직원·단원은 860명이고 세출은 1068억 원이었다. 하지만 그해 공연 수입 등 세입은 18억 원에 불과했다. 앞서 2019년에 세출은 919억 원, 세입은 22억 원을 기록했다. 4년 동안 지출은 크게 늘었는데 수입은 오히려 줄어든 셈이다. K컬처가 세계 시장에서 인기를 구가하는 와중에 K전통예술은 정체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악 발전과 함께 국악 문화 산업 생태계를 조성·지원할 전문 예술경영인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성기숙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장은 “국가 예산으로 예술 분야를 지원하고 있지만 언제까지 그럴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예술계가 스스로 활로를 찾아야 한다”며 “국악계도 자성과 성찰, 건강한 생태계를 위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