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 나쁜 일 하러 온 거면서…" 현지인들, 韓정부 대응 '유감' 입장 표명

2025-10-14

캄보디아 현지 관광업계가 "한국 정부의 대응에 유감"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납치·감금 등 강력 범죄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나온 현지인 첫 반응이다.

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이달 13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프놈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희생자들은 대부분 불법 일자리에 지원한 사람들"이라며 "한국 정부가 (사기)범죄와 관광을 구분하지 않은 점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열흘 동안 캄보디아를 여행한 한국 관광객들은 모두 안전하게 지냈다. 한국 정부가 할 일은 자국민에게 온라인 사기의 전형적인 수법, 특히 고액 일자리 제안을 미끼로 한 사기, 그리고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더 잘 교육하는 것"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앞서 크메르타임즈에 따르면 사르 소카 캄보디아 내무장관도 최근 사이버 범죄 대응 세미나에서 "우리는 외국 범죄 네트워크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지난 2년간 온라인 범죄에 가담한 외국인 1만5000명 이상을 추방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이버 범죄 퇴치는 캄보디아만의 책임이 아니라, 여러 국가들이 협력해야 하는 국제적 과제"라며 한국과 캄보디아 양국의 협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추 분 엥 국가인신매매근절위원회 부위원장도 “일부 조직이 합법적인 사업체로 위장해 활동하고 있어 단속이 특히 어렵다”며 “캄보디아에 입국하는 외국인들 상당수가 실제 목적을 숨기고 들어오기 때문에 관리와 감시가 복잡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아울러 한국인 피해자 가족이 외교적 도움을 요청했다는 보도와 관련, 캄보디아 경찰은 크메르타임스에 "시신이 발견되기 전 피해자 가족이나 한국 대사관으로부터 그 어떠한 신고나 도움 요청이 없었다"고 밝혔다.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피해를 입은 한국 국민들의 감정을 이해한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캄보디아 역시 이 범죄의 피해자였다는 점을 (한국이) 이해해 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외교부는 한국 관광객들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극도로 높아짐에 따라, 최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 '여행자제'에서 2.5단계인 '특별여행주의보'로 높였다.

이어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의 '총력 대응' 지시에 따라 캄보디아 정부와 긴급 접촉, 양국 경찰을 중심으로 수사당국이 참여하는 한-캄 스캠 합동 대응 TF 구성에 합의했다고 14일 밝혔다.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합동대응팀이 꾸려져 15일 캄보디아에 급파된다. 동 합동대응팀에는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을 필두로 한 경찰청과 국정원 직원 등도 참여한다.

또 외교부 본부 대사가 캄보디아에 체류하며 신임 대사가 부임하기 전까지 대사관의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캄보디아 측과 협력해 나가도록 하며 주캄보디아대사관의 현지 대응 인력을 보강해 나갈 예정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