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한국인 수천명 캄보디아행…올해 납치·감금 피해 330건
주캄보디아 대사 수개월째 공석…여야, 외교부 강하게 질타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매달 한국인 수천명이 캄보디아로 출국하는 가운데 현지에서 납치·감금 피해 등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국회는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가 수개월 째 공석이라며 정부가 자국민 보호를 내팽개쳤다고 지적했다.
13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은 6만64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5160명)과 비교해 6.9% 감소했다. 월별로 보면 ▲1월 1만7723명 ▲2월 1만5724명 ▲3월 5128명 ▲4월 4820명 ▲5월 4809명 ▲6월 5250명 ▲7월 7204명이다.

연간 캄보디아 출국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당시인 2021년 5476명까지 줄었다가 2022년 3만5606명, 2023년 8만4378명을 찍은 후 지난해 10만820명까지 증가했다. 올해는 연간 출국자가 10만명을 밑돌 전망이다.
올해 한국인 캄보디아 출국자 감소가 예상되는 배경으로는 현지 강력 범죄가 꼽힌다. 현지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감금 피해가 최근 증가하며 국민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민주당) 국회의원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동남아지역 취업사기 감금 피해 신고 접수' 자료를 보면 캄보디아 내 납치·감금 피해자는 ▲2021년 4건 ▲2022년 1건 ▲2023년 17건 ▲2024년 220건 ▲2025년 1~8월 330건이다.
외교부는 현지 상황이 심각해지자 캄보디아 여행경보 단계를 올리고 방문 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 10일 오후 9시부로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대한 여행경보를 여행경보 2단계인 '여행자제'에서 '특별여행주의보'로 상향 조정했다.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캄보디아 지역은 여행경보 1단계인 '여행유의'를 유지했다.
국회는 외교부가 뒷북 대응에 나섰다고 추궁했다.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여야 국회의원 구분없이 캄보디아 문제를 지적했다. 국회의원은 특히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 자리가 비어 있는 상황을 문제삼았다. 대사는 현지 거주하는 자국민(해외동포·여행객)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외교부는 강 건너 불구경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며 "외교부가 재외공관을 운영하는 게 171개인데 대사 공석이 26개, 총영사관 공석이 17개"라고 지적했다.
윤후덕 민주당 의원도 "캄보디아 내 한국인 사건·사고 피해자가 2년 만에 폭등했다"며 "캄보디아에서 큰 문제가 발생했는데 대사가 공석"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캄보디아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납치·감금되고 연락이 안 되는 사람이 수백명인데 외교부 대사도 없는데 외교부 장관이 뭐하고 있냐"고 거듭 질타했다.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