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피, 비염, 천식 등 소아에게서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질환과 관계 있는 유전자 조절 물질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 유전자는 체내에서 알레르기 염증 유발 물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앞으로의 알레르기 질환 치료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평가다.
고려대학교의료원은 이주성·유영 고려대 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 윤원석 알레르기면역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알레르기 질환에 관여하는 마이크로RNA(리보핵산) ‘miR-4497’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마이크로RNA는 생물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분자다.
연구팀은 고대안암병원의 소아 알레르기 환자 68명(아토피 피부염 42명, 알레르기 비염 13명, 천식 13명)과 해당 질환이 없는 건강한 대조군 10명의 혈청 샘플을 수집했다. 샘플에서 마이크로RNA 발현 여부를 분석한 결과 환자 샘플에서는 공통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miR-4497이 현저히 감소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어 알레르기 질환에 걸린 쥐에게 miR-4497을 주입한 결과 알레르기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IL-4, 마크로파지 유래 케모카인(MDC)과 기관지 저항성이 유의미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iR-4497은 혈액 내에서 알레르기 인자로 인해 자가 면역이 상승해 아토피·비염·천식 등을 유발하는 Th2 면역반응을 억제해 알레르기 염증을 조절하는 기능을 보였다.
유 교수는 “miR-4497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바이오마커(생체 표지자)로, 알레르기 질환의 공통 분자 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며 “인종, 연령, 중증도 등을 고려한 연구로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 알레르기 및 면역학 학술지(International Archives of Allergy and Immun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