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 공채로 입문...정무직 고위 공무원으로

2025-11-11

[공감 제주인 인터뷰] ⑤강동완 중앙선관위 사무차장

서울선관위 사무처장 당시 ‘완벽한 보궐선거’

독립적 헌법기관...계엄군 난입 있을 수 없어

극우 유튜버의 부정선거 주장은 ‘사실 왜곡’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와 국민 투표의 공정한 관리를 맡고 있는 독립적인 헌법기관이다.

중앙과 각 지역의 선관위에 몸담고 있는 공직자는 모두 2982명이다. 이 가운데 정무직은 단 3명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장(총리급), 사무총장(장관급), 제주 출신 강동완 사무차장(57·차관급)이 유일한 정무직이다. 강 사무차장은 정견 발표와 인사청문, 중앙선관위 위원들의 검증을 통해 지난 8월 1일 사무차장에 취임했다.

▲공직과 공기업 동시에 합격

1968년생인 강 사무처장은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가 고향으로, 하귀초, 귀일중, 오현고(35회), 제주대학교 행정학과(87학번)를 졸업했다. 고교 시절 하귀리 집에서 통학을 했다.

대학 진학 후 재수를 고민했지만, 대학생 시절 부친의 작고로 집안 사정 상 재수는 여의치 않았다.

그는 졸업한 해에 국가공무원 7급과 한국통신(KT) 공채에 합격했다. 당시 공무원 보수는 공기업보다 적어서 진로에 고민을 했는데 주위에서는 공직에 몸담을 것을 권유했다. 한국통신에서 발령장이 났지만 그는 입사를 포기했다.

그런데 공무원 임용 대기 기간이 길어지면서 2년을 기다린 끝에 1994년 12월 말 제주도선거관리위원회에서 출근을 하라는 전화가 왔다.

1995년 1월 제주도선관위에서 입직을 한 후 2009년 사무관으로 승진했고, 2011년까지 16년 동안 제주에서 근무했다.

2011년 중앙선관위로 발령 난후 2014년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가 설립됐다. 그는 실무를 맡은 사무관으로 3개월 동안 매일 밤 12시에 퇴근했다. 이듬해 서기관으로 승진, 제주도선관위 행정과장과 홍보과장을 맡았다.

2019년 부이사관(3급), 2020년 이사관(2급)에 이어 올해 1월 관리관(1급)으로 승진, 제주도선관위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강서구청장 선거 여야 ‘대리전’

그는 서울시선관위 사무처장을 역임하면서 2023년 10월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무사히 치렀다.

당시 보궐선거는 2022년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 이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 재대결로 여겨지면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총력전을 펼쳤다. 선거 마지막 날에는 이재명 대표와 안철수 의원이 등판할 정도로 여야는 모든 화력을 쏟아 부었다.

2024년 10월에는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가 치열하게 치러졌다.

그는 “서울시선관위 사무처장 당시 2차례 보궐선거에서 사소한 실수나 오점이 있었다면 정쟁으로 번질 뻔 했다. 착실히 준비를 하고 완벽하게 보궐선거를 치르면서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업무에 기여했다”고 회고했다.

그런데 지난 6·3 대통령 선거에서는 아찔했던 일이 벌었다. 대선 사전투표 첫날인 5월 2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주민센터 투표소에 관외 투표자가 몰리면서 투표용지를 받은 이들이 야외에서 대기하는 일이 벌어졌다. 한 시간 만에 현장을 수습하면서 다행히 투표용지 반출은 없었다.

또한 사전투표일에 서울 강남구의 한 투표소에서 선거사무원이 자신이 투표를 한 후 또 다시 남편 신분증으로 대리 투표하는 일이 벌어졌다. 선거사무원은 항상 2인 1조로 움직이는데 식사시간에 혼자만 남게 되자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강 사무처장은 “대통령 선거 투·개표에 31만명이 투입된 가운데 일부 투표소는 공간이 좁은 문제를 사전에 확인 못한 불찰이 있었다”며 “내년 지방선거에는 42만명이 투입되는데, 선거사무원의 식사시간을 포함해 디테일한 부문도 철저히 점검해 완벽한 선거가 치러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선관위 軍 난입 ‘위법·위헌’

지난해 12·3 계엄사태(내란행위)에서 계엄군이 과천에 있는 중앙선관위 청사 전산실에 난입해 서버 시스템을 촬영했다.

전시나 국가 비상사태에서 계엄이 선포될 경우 계엄법은 행정기관과 사법기관은 군이 통제하지만 헌법상 독립기관인 선관위와 선과관리 업무는 군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

강 사무처장은 “계엄군의 선관위 난입은 명백히 헌법을 위반했기에 중앙선관위는 12월 6일 위헌, 위법행위라는 담화를 발표했다”며 “그럼에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12월 12일 대국민 담화에서 일부 극우 유튜버의 왜곡된 주장인 부정선거와 북한의 해킹을 언급해 선관위 전 직원들은 큰 충격에 빠트렸다”고 회고했다.

제주에서 근무할 당시 기억나는 일화로, 그는 2009년 8월 제주 해군기지 건설사업을 추진한 김태환 제주도지사의 주민소환 투표를 꼽았다.

투표율이 11%에 머물러 투표권자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투표하지 않아서 개표는 하지 않았다.

주민소환제도가 도입된 2007년 5월 이후 광역단체장 가운데 처음 실시된 주민소환 투표에서 그는 사전에 위법행위를 예방하고 단속하는 업무에 집중했다.

그는 “그때 선거 조사담당관을 맡고 있어서 도지사 측은 물론 강정마을회 사람들과 수시로 만나서 사후 단속보다는 사전에 위법행위에 대해 안내하고 대비를 했다”고 밝혔다.

▲금품선거 처벌 강화

내년 지방선거 출마자나 출마 예정자로부터 금품이나 향응을 받은 유권자는 금액·음식물 가액의 50배 상당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를 신고한 사람에게는 최대 5억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강 사무차장은 “금품 수수액이 100만원을 초과하면 과태료가 아닌 뇌물수수죄와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며 “요즘은 금품 선거가 사라졌지만, 아직도 없다고는 할 수 없다. 후보자와 유권자들은 그릇된 생각은 접고, 깨끗한 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공명선거를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