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와 용기...“글쓰기, 두려움을 돌파할 수 있는 의지의 산물”

2024-09-19

내가 글쓰기와 관련해서 몇 차례의 글을 썼다. 먼저 일반적 차원에서 '글을 잘 쓰는 법'에 대해서 썼고, 다음으로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와 관련해서 '글쓰기와 사랑'에 대해서 했고, 그리고 세 번째는 글쓰기가 가져오는 효과와 관련해서 '글쓰기와 참선'에 대해 썼다. 이번에는 '글쓰기와 용기'라는 주제를 가지고서 글을 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고 글쓰기와 용기가 무슨 상관이 있냐고 의문을 품을지도 모른다. 나는 이런 통념을 넘어서 글을 쓰는 데는 상당한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내가 이미 여러 차례 언급했지만, 기형도의 <빈집>이라고 하는 시를 살펴보자,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 집에 갇혔네“

이 시를 읽다 보면 사랑에 빠진 한 젊은이의 절망적 감정을 표현한 느낌이 들지만 나는 오히려 애써 글을 쓸 때의 절실한 감정을 더 읽을 수 있다. 짧았던 밤, 겨울 안개들, 촛불들은 글 쓰는 작자의 심정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이러한 감정은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라는 구절에서 절정에 이른다. 예전에는 하얀 원고지의 한 칸 한 칸을 메우면서 글을 썼다. 그런데 글이 써지지 않을 때 원고지의 하얀 빈칸은 거진 공포의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런 느낌은 컴퓨터로 쓸 때도 마찬가지이다. 커서가 깜빡거리면서 빨리 좀 채우라는 재촉을 받을 때도 비슷하다. 그는 자기 안에 무언가 표현하고 싶은 욕구는 가득한 데 막상 그것을 활자로 적어 놓고 보면 너무나 유치해 보인다. 그래서 '부끄럽다'라는 느낌을 갖고 몇 번이고 지웠다 다시 썼다를 반복한다. 이때의 절망감은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해 회의도 일으키다가 끝내는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그러다가 '여우와 신 포도' 이야기처럼 이런 글쓰기가 자기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라는 작자의 그런 도피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다. 마침내 글쓰기에 실패한 작가는 세상으로부터 스스로를 단절시킨다. 물론 이러한 단절은 물리적 단절이기 보다는 마음 속의 단절이다.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이런 느낌은 글을 쓰는 많은 사람들의 공통된 경험을 잘 드러내고 있다. 글쓰기는 생각보다 많은 두려움의 감정을 수반한다. 일단 글을 완성했어도 그것을 남에게 보여줄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이 글은 자신의 내밀한 속내를 드러내는 것 같아 부끄럽기도 한 것이다. 때문에 글을 쓰고 그것을 발표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상당한 '용기'이다.

예전에 독일의 철학자 헤겔이 철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진리에 대한 용기'(der Mut zur Wahrheit)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글을 쓰는 데 있어서 필요한 어떤 가장 큰 덕목 중의 하나는 두려움을 갖지 않으려는 용기,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절실하게 쓰고자 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성경에 보면 선한 사마리아 이야기가 나온다. 사마리아 인이 밤길을 가려고 하는데. 어디선가 신음 소리가 들리는 거. 그런데 그 소리를 듣는 순간 어떤 생각이 들까? 두려움 때문에 머리카락이 쭈뼛 서는 느낌이 들 것이다. 산속을 가다가, 그것도 밤에 가다가 두려운 것 중에 하나는 사나운 짐승 이상으로 사람을 만나는 일이다. 그런데 어떤 사내가 산속에서 신음 소리를 내면서 도움을 청하는데. 그 소리를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고서 도망갈 것이다. 나도 저 사내처럼 똑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을 거라는 그런 생각 때문이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이성적 반응이다. 두려움은 정서적 반응이고, 도망가야겠다고 하는 것은 이성적 생각이다. 그런데 사마리아인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사내에게 다가가서 그 사내를 도와 치료를 도와준 것이다. 사마리아 인의 이런 행동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두려움을 무릅쓰고 행동을 한 용기라고 할 수 있다. 나는 이런 의미에 있어서의 용기가 글을 쓰는 데에서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두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자꾸 쓰고자 하는 어떤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용기는 플라톤이 말하는 전사의 어떤 덕목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플라톤은 영혼 3분설을 이야기를 하면서 인간을 세 부분으로 나눈 바 있다. 첫 번째는 머리이고 두 번째는 가슴이고 세 번째는 배이다. 머리는 이성에 해당하고, 두 가슴은 의지에 해당하며, 마지막으로 배는 감성에 해당이 된다. 그래서, 플라톤에 따르면 머리에 해당되는 부분이 나라에서는 통치자의 역할을 하고, 가슴에 해당되는 부분은 전사(military man), 다시 말해서 군인이다. 그들은 창과 칼이 난무하고 여기저기 피가 튀는 전쟁터에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싸울 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있다. 세 번째는 욕구에 따라 생산하는 생산자들이다. 플라톤이 용기라고 부른 덕목은 의지에 해당하는 것이다. 의지는 머릿속에서 계산만 하는 이성과 달리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강하게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합리적인 이성과 다르고 비합리적인 감성과도 다르다. 어떻게 보면 의지는 감성과 이성의 종합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칸트는 이런 의지에 윤리학을 청초하면서 그것을 실천 이성이라고 보았다.

나는 글쓰기가 플라톤과 칸트가 말한 의미에서의 의지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글을 쓴다는 것은 지성적 활동 이상으로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관념을 겉으로 표현하려 할 때 매 순간 닥치는 두려움을 돌파할 수 있는 의지의 산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지는 글을 쓰는 내내 이끌어 가는 견인차이자 동력을 부여하는 엔진과도 같다. 내가 이렇게 글쓰기를 용기하고 결부시켰는데 당신들의 생각은 어떠한가? jogel4u@outlook.com

*필자/이종철

철학박사(독립철학자).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근간 “철학과 비판” "일상이 철학이다" 등의 저자. 칼럼니스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riting and Courage... “Writing, a Product of Will to Break Through Fear”

-Dr. Jong-cheol Lee

I have written several articles on writing. First, I wrote about ‘How to Write Well’ in general terms, then I wrote about ‘Writing and Love’ in relation to Charlie Chaplin’s , and then I wrote about ‘Writing and Zen’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writing. This time, I will write about ‘Writing and Courage.’ Some people might wonder what writing and courage have to do with each other. I want to go beyond this common sense and say that writing requires considerable courage.

As I have mentioned several times, let’s look at the poem by Kihyungdo.

“Goodbye, short nights

Winter fogs drifting outside the window

Candles that knew nothing, goodbye

White papers waiting for fear

Tears that replaced hesitation

Goodbye, longings that are no longer mine

Like a blind man, I now grope and lock the door

My poor love is trapped in an empty house.”

When I read this poem, I feel like it expresses the desperate feelings of a young man in love, but I can actually read the desperate feelings of the writer when he is trying to write. The short nights, winter fogs, and candles well express the author’s feelings as he writes, and these feelings reach their peak in the phrase, “White papers waiting for fear.” In the past, I wrote by filling in each square of the white manuscript paper. However, when I couldn’t write, the white blank spaces on the manuscript paper almost gave me a feeling of fear. This feeling is the same when writing on a computer. It is similar when the cursor blinks and urges you to fill it out quickly. He is full of the desire to express something inside him, but when he actually writes it down in print, it looks so childish. So he feels 'embarrassing' and erases and rewrites it over and over again. The despair at this time makes him doubt his own abilities and eventually he sheds tears. Then, like the story of 'The Fox and the Grapes', he thinks that this kind of writing does not suit him. The author's desire to escape is revealed as it is in the words, 'Goodbye, desires that are no longer mine'. Finally, the writer who fails to write cuts himself off from the world. Of course, this cutoff is not a physical cutoff but a cutoff in his heart. "Like a blind man, I now grope and lock the door." This feeling well reveals the common experience of many people who write. Writing involves more emotions of fear than you might think. Even if you finish writing, you don't dare show it to others. This article is embarrassing because it seems to reveal my innermost feeling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writing and publishing an article is considerable 'courage'.

The German philosopher Hegel once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tudying philosophy is 'courage for truth' (der Mut zur Wahrheit). Likewise, one of the greatest virtues needed in writing is the courage not to be afraid, the courage to desperately write something despite fear. In the Bible, there is a story about the Good Samaritan. A Samaritan is about to go on a journey at night. He hears a groaning sound from somewhere. What do you think when you hear that sound? Your hair will stand on end because of fear. One of the things that is more fearful when going through the mountains, especially at night, is meeting people more than ferocious animals. Then, a man groans in the mountains and asks for help. Most people would feel fear and run away if they heard that sound. It is because I think that the same thing could happen to me like that man. This is a natural rational reaction. Fear is an emotional reaction, and running away is a rational thought. However, the Samaritan approached the man despite his fear and helped him heal him. The Samaritan’s behavior can be said to be courage in overcoming fear and acting despite his fear. I think that courage in this sense is also necessary in writing. It is a courage that is necessary to continue writing despite being afraid. Courage can also be said to be a virtue of a warrior that Plato talks about. Plato divided humans into three parts when he talked about the tripartite theory of the soul. The first is the head, the second is the chest, and the third is the stomach. The head corresponds to reason, the two chests correspond to will, and the last is the stomach corresponds to emotion. Therefore, according to Pla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head plays the role of a ruler in a country,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hest is a warrior, or in other words, a soldier. They have the courage to fight in a battlefield where spears and swords are flying and blood is splattered everywhere, despite their fear. The third is producers who produce according to desire. The virtue that Plato called courage corresponds to will. Unlike reason, which only calculates in the head, will can strongly put it into action despite fear. This is different from rational reason and irrational emotion. In some ways, will can be said to be a synthesis of emotion and reason. Kant considered this will to be practical reason while purifying ethics.

I think writing is related to will in the sense that Plato and Kant spoke of. Writing is more than an intellectual activity; it is also a product of will that can overcome the fear that comes at every moment when trying to express the ideas in one’s head outwardly. This will is like a driving force and an engine that provides power throughout writing. What do you think about my connection between writing and courage? jogel4u@outlook.com

*Author/Jong-cheol Lee

Doctor of Philosophy (Independent Philosopher).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Author of “Philosophy and Criticism” and “Everyday is Philosophy”. Columnist.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