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브란스병원 대부분 교수들, 환자 곁 지킬 것 믿어"

2024-06-27

"휴진 안타까워…조건 없이 대화 나서달라"

'무기한 휴진' 첫날 혼란 없어…전광판엔 "정상진료중"

정부는 예정대로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세브란스병원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면서 환자 곁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김국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27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정책관은 "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오늘부터 집단 휴진에 돌입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서울대 의대 교수 비대위가 집단 휴진을 중단한 데 이어 성균관대 의대, 가톨릭대 의대 교수 비대위도 휴진을 유예한 가운데 수도권 주요 병원에서 또다시 집단 휴진을 강행한다는 사실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집단휴진 방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대부분의 교수님이 끝까지 환자 곁을 지켜주실 것이라 믿는다"며 "집단 휴진보다는 대화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의료계와의 대화 노력에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우려하던 혼란은 없었다.

실제 휴진 참여는 제한적이었기 때문인데, 환자들 대부분은 자칫 사태가 장기화할까 우려하는 모습이었다.

이날 오전 10시께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3층 로비 전광판에는 '세브란스 병원은 정상 진료 중입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띄워져 있었다. 안내처럼 내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차질 없이 진료받고 있다고 했다.

비슷한 시간 강남구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는 신규 환자를 줄인 탓인지 병원 원무과는 평소보다 썰렁했다. 실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은 대부분 차질 없이 진료받았다고 전했다.

갑상선센터 진료실 5곳, 유방암센터 진료실 2곳 등 암병원 상당수는 평소처럼 진료가 이뤄지는 분위기였다.

또한 정부는 대한의사협회(의협)를 중심으로 의료계가 구성한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를 통해 의사들이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 정책관은 "정부는 의료계의 오랜 요구사항을 반영해 의료개혁 과제들을 마련했고,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해 사회 각계의 의견을 경청해 과제를 구체화해 나가고 있다"며 "의협과 전공의도 특위에 참여해 의견을 제시해준다면 적극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의료계와의 대화 진행 상황을 묻는 말에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이미 결정됐기 때문에 협의의 대상이 아니고, 전공의 처분도 정당한 행정명령이기 때문에 취소하기는 어렵다"면서 "이 두 가지를 전제로 대화하기보다는 조건 없이 대화하면 좋겠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고 답했다.

전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청문회에서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이 '사정 변경에 따른 명령 취소가 가능하다'면서 전공의 행정처분을 취소할 수 있다고 한 점을 두고는 "사정 변경에 따른 명령 철회가 법조문에 있다"며 "7월 중으로 (처분을) 어떻게 할지 검토하고 있고, 전공의들을 복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6월 말까지 전공의 사직 여부를 병원마다 판단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정부는 전공의 복귀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달 26일 현재 전국 수련병원 211곳에서는 전공의 1만3천756명 중 1천65명(7.7%)만 근무 중이다.

복지부가 복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행정처분 철회 등을 발표하기 하루 전인 이달 3일과 비교하면 출근 전공의 수는 52명 늘었다.

정부는 의대 정원 증원으로 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국방과 치안 수준만큼 투자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정책관은 "현재 의대 정원이 늘어난 대학의 시설·교수 수요를 조사 중"이라며 "학교별 타당성·필요성 점검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연도별 투자 계획을 세우고 내년 예산안에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과 환자, 의사 모두를 위해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실행하지 못한 의료개혁을 추진하고 있다"며 "마지막까지 원칙을 지키는 흔들림 없는 자세로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