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 제한적, 왜
성장 아직 초기 단계
이 기사는 4월 25일 오후 2시2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남미의 아마존으로 통하는 메르카도리브레(MELI)의 주가 강세가 월가에 화제다.
나스닥 시장에서 거래되는 업체의 주가는 4월24일(현지시각) 3.03% 오르며 2204.81달러에 거래를 마감, 2025년 초 이후 24.92% 상승했다. 1년과 5년 누적 수익률은 각각 61%와 286%에 이른다.
트럼프 행정부의 연이은 관세 발표에 나스닥 지수가 연초 이후 약 11% 떨어진 가운데 메르카도리브레가 추세를 거스르는 강세 흐름을 타는 데는 펀더멘털 측면의 배경이 자리잡고 있다고 월가는 주장한다.
남미 지역에 비즈니스가 집중된 구조적 특성 상 무엇보다 관세로 인한 직접적인 충격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약세장에 피난처로 부상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두 배에 가까운 이익 성장과 향후 실적에 대한 장밋빛 전망 역시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자극하는 부분이다.
1999년 설립한 메르카도리브레는 아르헨티나 업체로, 본사는 우루과이에 두고 있다. 미국에도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기 위한 법인을 델라웨어에 두고 있지만 비즈니스의 무게 중심은 남미 지역이다.
업체의 비즈니스는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로지스틱스 서비스 등 세 가지를 핵심 축으로 한다. 1999년 온라인으로 상품 판매를 시작하면서 남미 지역에서 전자상거래 시장을 개척하기 시작했던 업체는 핀테크와 로지스틱스로 영역을 확장했다. 세 가지 사업 부문은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며 전반적인 매출과 이익 성장을 이끌어내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멕시코와 브라질에서 아마존(AMZN)을 물리칠 정도로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가진 메르카도리브레가 중장기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메르카도리브레가 미국과 직접적인 연결고리 없이 창사 이후 가파른 성장을 지속했다는 점에 조명이 집중된 상황. 업체가 텍사스에 물류 시설을 구축하고 미국 상품을 멕시코에서 판매하고 있어 관세로 인한 영향을 전혀 받지 않기는 어렵지만 타격이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월가는 예상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업체는 2024년 약 210억달러의 매출액을 올렸다. 전년 대비 38% 늘어난 수치다. 전자상거래 사업 부문의 총 상품 거래액은 같은 기간 15% 늘어났고, 핀테크 부문의 총 결제 규모가 1970억달러에 달했다. 전년 1470억달러에서 대폭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업체의 순이익은 19억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94% 껑충 뛰었다. 환 손실을 크게 축소한 데다 비용 통제에 적극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업체의 매출액은 2019년 23억달러를 기록한 뒤 2024년까지 805%에 달하는 성장을 나타냈다. 남미 지역의 디지털 경제가 가속화되면서 업체의 수익성도 향상될 전망이다.
메르카도리브레의 전자상거래 비즈니스가 남미 지역의 주요국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가운데 핀테크 사업 부문의 성장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메르카도 파고(Mercado Pago)는 현금 기반의 고객들이 메르카도리브레의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핀테크 솔루션이다. 모바일 금융 거래 서비스의 이용률이 낮을 뿐 아니라 은행 계좌를 사용하지 않는 인구도 상당수에 달하는 남미 지역에 특화된 핀테크 서비스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성공적인 디지털 결제 플랫폼 중 하나로 꼽힌다.
본래 메르카도 파고는 메르카도리브레 내에서 결제를 돕기 위해 출범했는데 현재는 독립적인 핀테크 서비스로 성장했다. 온-오프라인 결제 처리와 QR 코드 결제 시스템, 디지털 지갑 서비스와 선불 카드 발급, 소액 대출 및 신용 서비스, 더 나아가 투자 플랫폼까지 비즈니스 영역에 포함된다.
메르카도 파고는 은행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인구가 많은 남미 지역에서 많은 이들에게 처음 금융 서비스를 제공했고, 메르카도리브레의 이커머스 플랫폼과 통합하면서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남미 지역의 특수한 금융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다졌다는 평가다. 남미 인구의 금융 포용성을 높이는 한편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이들에게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열었다는 얘기다.
최근에는 메르카도 파고의 서비스가 메르카도리브레 플랫폼 외부의 판매자와 소비자들에게도 서비스를 확장했다. 업체의 인지도와 시장 지배력이 높아지면서 가능해진 일이다.
메르카도리브레는 로지스틱스에도 과감한 투자를 강행했다. 이커머스 고객들을 지원하는 한편 남미 지역의 물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르카도 엔비오스(Mercado Envios)를 설립한 것. 판매자들이 주문을 처리하고 배송하는 모든 과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많은 경우 당일 또는 익일 배송 서비스가 가능해 졌다. 남미 지역에서 과거 생각하기 어려웠던 서비스를 제공하는 셈이다.

20여년 전 작은 스타트업으로 출범한 업체는 남미 지역에서 시가총액 상위권에 오를 만큼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 지난 10년간 업체의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이뤄진 거래 규모는 500% 이상 늘어났고, 활동 고객의 수는 네 배 가량 증가했다. 메르카도 파고의 결제 규모는 2018년 이후 10배 가까이 뛰었다. 수익성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업체의 영업이익률은 2019년 6.7%에서 2024년 13%로 상승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미 메르카도리브레가 남미 지역에서 이커머스와 핀테크, 로지스틱스 등 세 가지를 축으로 강력한 에코시스템을 구축했다고 강조한다. 2024년 4분기 이커머스 총 상품 거래액과 결제 총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와 33% 늘어났고, 신용 포트폴리오가 74% 급증한 데서 에코시스템의 강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커머스 플랫폼 뿐만 아니라 로지스틱스 네트워크와 핀테크 솔루션은 모두 중장기 성장에 무게를 두고 구축됐다. 대규모 투자가 이미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월가는 판단한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메르카도리브레의 성장이 아직 초기 단계라고 입을 모은다. 남미 지역의 전자상거래와 로지스틱스, 디지털 결제, 소비자 신용 도입이 미국에 비해 여전히 저조하다는 지적이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전체 소매 판매 가운데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25%로 집계된 데 반해 남미 지역의 수치는 13%로 나타났다.
디지털 광고 시장도 메르카도리브레에 커다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업체의 광고 사업 부문 매출액은 2019년 이후 10배 이상 확대됐다. 그런데도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5%에 불과한 상황. 월가는 점유율을 높이는 한편 중장기 매출 성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
업체가 핵심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남미 지역 시장의 인구는 5억명을 웃돌고, 이 가운데 메르카도리브레 에코시스템을 주로 이용하는 고객이 1억명에 달한다. 해당 지역의 GDP(국내총생산) 규모는 5조달러로 집계됐고, 금융 서비스 산업은 역사적으로 독과점 체제로 운영된다. 이 같은 시장 여건이 업체의 향후 성장을 낙관하게 하는 대목이라고 시장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강세론자들은 메르카도리브레의 비즈니스가 앞으로 10년 사이 작게는 두 배, 크게는 세 배 이상 확대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강력한 성장을 앞세워 시장을 앞지르는 주가 상승률 역시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