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 조기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큰 에너지 관련 종목에서 지각변동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정권이 교체될 경우 에너지 정책이 원전 중심에서 재생에너지 활성화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풍력·태양광 등과 관련된 종목도 들썩이는 모습이다.
21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차기 정권에 따라 에너지 관련 수혜주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구체적으로 더불어민주당으로 정권이 바뀌면 풍력·태양광 등 이전 정부에서 강조한 재생에너지 시장이 다시금 활성화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국민의힘 정권이 유지될 경우 원전 생태계 중심의 정책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시장에서는 재생에너지 종류에 따른 수혜 종목을 찾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먼저 풍력발전 관련주로는 씨에스윈드(112610)를 비롯해 한화오션(042660)·SK오션플랜트(100090) 등이 꼽힌다. 씨에스윈드의 주가는 이달 들어 4.72% 상승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달 4일에는 6% 가까이 올랐다. 한화오션과 SK오션플랜트도 이달에만 각각 16.10%, 12.08% 급등했다. 태양광의 경우 한화솔루션(009830) 및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두 종목은 같은 기간 무려 27.65%, 18.24%씩 올랐다.
특히 현 정부 들어 글로벌 대비 국내 재생에너지 생태계가 위축됐기 때문에 정권이 교체될 경우 성장세가 가파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신재생에너지센터에 따르면 연간 국내 재생에너지 설치량은 2020년 4818메가와트(㎿)에서 지난해 3450㎿로 쪼그라들었다. 이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100%(RE100)’ 참여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재생에너지 인프라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022년 이후 RE100에 가입한 기업 가운데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상위 10개 회사 중 70%가 한국 기업”이라며 “전력 소비량이 60테라와트시(TWh)에 달하지만 재생에너지 사용량 비중은 9%에 불과하다”고 짚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새롭게 들어설 정부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세(CBAM)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대응해야 하는 만큼 에너지 정책의 대규모 수술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아울러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책 강화를 통한 투자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