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천에서 ‘용만 쓰는’ 시대…계층 대물림 고착 우려
정년 연장 등 세대 갈등 이슈는 청년부터 배려해야
일해서 번 돈으로 계층 사다리를 오르기가 더 어려워졌다. 국가데이터처가 그제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에 따르면 15세 이상 소득 있는 인구를 1~5분위로 나눴을 때 전년 대비 한 계단 이상 오른 사람은 전체의 17.3%에 불과했다. 특히 가장 소득이 적은 1분위에서 벗어난 사람은 29.9%뿐이었다.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가 아니라 개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용만 쓰는 시대인 셈이다. 비교 시점에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이들만 따진 통계인 만큼 비교 시점 모두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없어진 이들의 삶은 더 팍팍했을 것이다. 계층 이동성이 낮은 사회는 세대 간 계층 대물림이 고착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건강한 사회라고 할 수 없다.
부동산 등 자산 격차가 벌어지면서 우리 사회의 불평등 수준이 심해졌다는 국회입법조사처의 어제 발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2011∼2023년 13년간 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로 본 소득 불평등은 개선됐지만 자산·교육·건강은 더 불평등해졌다.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가격 양극화로 자산 불평등이 심화했고, 가정의 경제적 배경이 교육 기회에 미치는 영향은 커졌다. 또 소득이 낮을수록, 읍·면 지역에 거주할수록, 1인 가구일수록 건강 상태가 나빴다. 소득재분배뿐 아니라 부동산·세제 등 정부 정책의 전 분야에서 불평등 완화를 주요 정책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은 시의성이 있다. 집값 급등이 불러온 자산 양극화 탓에 청년들이 좌절하지 않도록 정부는 주택시장 안정에 온 힘을 다해야 한다.
노동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청년들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 국가데이터처 통계를 보면 청년들의 1분위 탈출률이 떨어지고 있다. 이런 판국에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은 이미 일자리를 가진 ‘노동’만 보호하고 새 일자리를 만드는 ‘고용’은 후순위로 밀리는 분위기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정년 연장은 청년 취업난을 심화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 정년제 사업장은 전체의 21.8%에 불과하다. 노조가 있는 대기업과 공공부문 정규직만 혜택을 보고, 무노조 기업이나 중소기업, 비정규직과의 격차는 더 커질 것이다.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 해결은 이런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완화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사회에 진출하는 청년이 공정한 출발선에 설 수 있도록 부동산부터 고용 정책까지 정부가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 세제의 합리화, 지속 가능한 재정, 고용 우선의 노동시장 정책 등 세대 간 갈등이 불가피한 이슈는 청년의 이익을 최우선에 두는 게 옳다. 그것은 우리 사회 기성세대가 마땅히 감당해야 할 몫이기도 하다.

![6·25 때도 뜨거웠던 교육열…경제강국 이끈 '산업전사'들 낳았다 [창간기획 '대한민국 트리거 60' ㊹]](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8/4a208a7a-7fa5-4799-a93d-878a2b67750e.jpg)

![[에듀플러스][유학에서 정주로]“유학은 쉬워도 정착은 어렵다…30만 유학생 현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8/news-p.v1.20251028.4055de8f150848488355fcf87f0bf827_P1.jpg)
![무너지는 계층 이동 사다리…‘개천 용’ 더 어려워졌다 [AI 프리즘*신입 직장인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Q47FRE_1.jpg)
![[새벽메아리] 이재명 정부의 2026년 통합돌봄 '기대 반, 실망 반'](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5/10/28/.cache/512/2025102858017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