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중해식 식단이 건강식으로 각광받는 가운데, 프랑스식 식단이 장수에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뉴욕의 내과·재생의학 전문의 마이클 아지즈 박사는 "날씬함 유지와 장수에는 지중해식보다 프랑스식 식단이 더 낫다"고 밝혔다.
아지즈 박사는 "지중해식 식단의 이상화는 포화지방이 적은 식단이 심장병을 예방한다는 7개국 연구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는 일부 국가만 조사했고, 고지방 섭취에도 심장병 발병률이 낮은 프랑스·스위스는 의도적으로 제외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 결과 대중이 버터와 치즈를 멀리하고 그리스식을 받아들였는데, 이는 실수"라고 주장했다.
아지즈 박사는 "지중해식은 채소·과일·통곡물이 풍부해 좋은 식단이지만, 연구 대상은 과잉 칼로리 소모를 위해 수시간 밭일하는 농부들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앉아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지중해식은 부적합하며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체중 감량 원하는 이에게는 오히려 '위험한 식단'"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프랑스식 식단은 체중 관리에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그리스인 비만율은 43위, 프랑스인은 143위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주장을 뒷받침했다.
프랑스식 식단의 비결로는 '식사량 조절'을 꼽았다. 아지즈 박사는 "프랑스식은 소량의 음식을 천천히 먹는 것을 중시한다"며 "이는 소화를 돕고 칼로리 섭취를 줄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중해식은 올리브오일·견과류·통곡물을 많이 섭취해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밀빵 샌드위치는 하루 7~11인분 먹기 쉽지만, 크루아상을 그만큼 먹는 사람은 본 적 없다"고 말했다.
프랑스식 식단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치즈·요구르트 같은 고지방 유제품이 많아 칼슘·비타민D 공급이 풍부해 뼈 건강에 좋다고 설명했다. 대장암 예방에도 프랑스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아지즈 박사는 "지중해식은 유제품 섭취를 제한하는데, 유제품의 칼슘은 대장암 예방에 도움된다"고 말했다. 실제 프랑스에서는 10만명당 22명이 대장암 진단을 받는 반면, 그리스는 10만명당 149명이 진단받는다고 부연했다.
레드와인도 프랑스식의 장점으로 꼽았다. 식사와 함께 레드와인을 마시면 "폴리페놀 흡수가 향상돼 유해 활성산소 중화, 혈당 급등 방지, 소화 촉진에 도움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과도한 음주는 장기 손상과 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지즈 박사는 "프랑스 평균 수명은 83.1세, 그리스는 81.8세"라며 "프랑스인들이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도 더 날씬하고 건강한 것은 프랑스식 식단이 장수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