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주거·의료 지출이 70%, 살아도 사는 게 아닌 서민들 삶

2025-02-23

지난해 소득 하위 20% 계층의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와 주거비,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준이다. 여기에 교통비·통신비까지 더한 지출 비중은 80%가 넘는다. 이 정도면 하루하루 버티는 것이지 살아도 사는 게 아니다. 자녀 교육 등 미래를 위한 투자나 문화 생활 향유는 꿈도 못 꾼다. 실제로 하위 20%의 교육비 지출 비중은 1.2%로 상위 20% 계층(14.0%)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친다.

23일 경향신문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의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주거비·의료비 비중은 69%였다. 2017∼2018년 약 65%였던 이 비중은 2020년에 67.5%로 증가한 뒤 계속 상승하고 있다. 1차 원인은 물가 상승이다. 특히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지난해 3.9%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2.3%)을 웃돈 것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소득 하위 20%는 연 소비지출(1311만원)에서 식료품비로 35.6%인 467만원을 썼다. 2020년 이전 평균 비중은 33.6%였다. 지난해 병원 진료비 등을 포함한 의료비 상승률도 2009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의료비 비중은 2020년 이후 꾸준히 내려가다가 지난해 12.3%(161만원)로 급등했다. 하위 20% 주거비도 276만원으로 전체 소비의 21.1%를 점했고, 이 비중 역시 2017년 이후 가장 컸다.

물가는 올해도 꺾일 기미가 안 보인다. 12·3 내란 사태 후 급등한 원·달러 환율이 국제유가 상승과 맞물리면서 상황이 더욱 심각해졌다. 연초부터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편의점 도시락으로 한 끼를 때우고 커피 한 잔만 마셔도 1만원이 넘는다. 대학 등록금이 5% 올랐고, 대학가 월세도 급등하고 있다. 1월 생산자물가는 한 달 새 0.6%나 뛰었다. 1~2개월 뒤면 소비자물가에 고스란히 반영될 것이다.

서민들을 구제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삶에 희망이 있을 수 없다. 가계 지출 가운데 생필품 비중이 작아져야 내수 경기도 살아난다. 여야와 정부는 민생의 기본인 물가부터 잡고,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의료와 주거 복지 등 사회안전망을 촘촘히 짜야 한다. 빈부 격차가 교육 격차로 이어지지 않게 공교육을 강화하고 미래세대의 교육환경 투자도 늘려야 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