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잇단 조(兆) 단위 기술수출에 성공하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K바이오가 더욱 발전하려면 정부가 연구개발(R&D) 관련 예산지원을 지금보다 20%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내년도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이 처음으로 1조 원대를 기록했지만 각 사업별로 들여다보면 증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8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협회 주최로 열린 ‘비전2030 실현 제3차 혁신포럼’에서 전윤종 산업기술기획평가원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국가 주도로 R&D를 지원해 육성할 수 있다. 미국도 정부가 국방, 바이오, 에너지 분야에 투자한다”며 “정부의 제약·바이오 분야 투자를 20%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이오 산업의 성장 잠재력에 비해 R&D 투자 규모가 적다는 게 전 원장의 지적이다. 그는 “우리나라의 민·관 바이오 R&D 투자 규모는 연간 2조 2000억 원 규모에 불과하다”며 “바이오 분야는 잠재력이 높은 반면 다른 산업에 비해 R&D 투자가 적은 편으로 반도체와 비교하면 100배 적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바이오 산업이 지속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블록버스터를 확보하려면 민관 협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협회의 미래비전위원장인 이관순 전 한미약품 부회장은 “블록버스터가 있어야 산업 규모가 커질 수 있다”며 “대기업의 참여나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제약산업 덩치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실질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제대로 하고, 민간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더 열심히 할 수 있도록 판을 깔아줘야 한다”고 전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현실에서는 오픈이노베이션이 블록버스터 개발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다. 김열홍 유한양행 사장은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을 예로 들면서 “신약 후보물질을 보유한 기술기반 바이오 기업에서 시작해 ‘이어달리기’ 형태로 글로벌 빅파마가 원하는 단계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는 올해 ‘비전2030’을 발표하며 신약 개발 능력 강화, 글로벌 진출, 공급망 안정화 등 세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2030년까지 △회원사의 매출 15% 이상 R&D 투자 유도 △블록버스터 신약 5개 이상 배출 △글로벌 톱50 업체에 국내 기업 5개 진입 △원료의약품 자급률 제고 등을 세웠다. 협회는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려면 △R&D에 인센티브 부여 △이중가격제도 활성화 △신약 연구개발 비용 가산 제도 도입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K바이오 기술수출 1조 시대…10년만에 평균 계약 2.6배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MW7CIO_1.jpg)

![MBK, 6호 펀드 8조 약정…"성과 넘어 PEF 책임 투자" 강조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NEH5H_2.jpg)


![[뉴스핌 이 시각 PICK] 엔비디아 실적, AI 투자 방향 가른다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1/18/2511180743401130.jpg)
![[AI의 종목 이야기] 구글 인도에 '공격 투자' 데이터센터 허브 부상](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