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고강도 가계부채 대책과 금융감독체계 개편,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의 관계 정립 등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정책 역량과 협업 능력이 청문회의 핵심 평가 기준이 될 전망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부터 이 후보자는 금융위 간부들로부터 국별 대면 업무보고를 받는다. 매일 2개국씩 보고를 받고, 3~4일 내 업무보고를 마무리한 뒤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
시장에선 해당 청문회에서 가계대출 규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가 지난 6월 27일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 이후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 등 효과가 일부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추세적 안정 여부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금융당국은 조만간 규제지역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추가 강화 등 방안 발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무주택자 LTV는 규제지역에 최대 50%, 비규제지역에 70%까지 적용되는데, 규제지역 LTV 비율을 40% 이하로 강화하는 방안에 무게가 실리는 중이다.
지난 14일 취임한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과의 관계 정립과 조직개편 관련 입장 등도 관심사다. 이 원장이 대통령 최측근으로 분류되며, 전임 이복현 원장에 이어 ‘실세 원장’으로 평가되는 만큼, 관료 출신인 이 후보자와의 협업 관계도 청문회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이 후보자는 첫 출근길에 만난 기자들에게 “금융위와 금감원은 금융 시장과 산업을 발전시키는 국정과제를 소화하는 데 긴밀히 협조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해 협업하는 관계다. 신임 금감원장과 통화해 이런 취지에 대해 공감했다”고 언급했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금융감독체계 개편안에 대한 후보자의 입장도 청문회에서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이 후보자는 이에 대해 “후보자 신분이므로 언급이 적절하지 않다”고 밝힌 바 있으나 정치권에선 관련 질의 준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청문회 준비팀은 이번 주 중 인사청문 요청안을 작성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요청안을 받으면 이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회를 해야 하므로, 빠르면 9월 첫째 주, 늦으면 둘째 주 청문회가 열릴 전망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