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북풍 유도’ 논란에 휘말렸던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이 19일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계엄 사태 후 처음으로 실시된 훈련이다. 군 당국은 이런 외풍에 영항 받지 않고 군사대비태세의 완결성을 위한 훈련을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이날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K9 자주포를 동원해 1분기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250여발이 불을 뿜은 이번 훈련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방향이 아닌 한국 해역의 가상 표적을 겨냥했다.
합참 관계자는 “전투준비태세 유지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며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감독위원회 소속 국제참관단이 참관해 정전협정 규정을 준수한 가운데 시행했다”고 말했다. 해병대는 사격훈련 간 주민 안전을 위해 항행경보 발령, 주민간담회, 안전문자 발송, 훈련 안내 방송, 주민대피 안내조 배치 등 대국민 안전조치도 취했다.
서북도서 훈련은 북풍 유도설의 진원지로 꼽혔다는 점에서 주목 받았다. 수사당국이 확보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수첩에서 “NLL에서 북 공격을 유도”라는 표현이 발견되면서다.
지난해 군 당국은 4차례 해당 훈련을 벌였다. 1월 5일 북한이 서해 NLL 인근 완충구역(적대행위 금지구역) 내에서 해상사격을 하자, 대응 조치로 우리 해병대도 일회적으로 서북도서 사격훈련을 실시했다. 2018년 ‘9·19 군사합의’ 이후 약 7년 만의 훈련이었다. 서북도서 훈련은 같은 해 6월 정부가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결정한 뒤 분기당 한 번꼴로 정례화돼 6월은 물론 9월, 11월에도 열렸다.
군 당국은 서북도서 훈련이 계엄과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군 당국자는 “노 전 사령관 수첩 내용은 개인 구상일 수는 있어도 정상적인 훈련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며 “교육훈련탄(교탄) 수량이 매년 정해져 있는데 누군가의 지시로 훈련 규모를 늘리거나 줄이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교탄 수량은 한 해 1000~1200발 정도 배정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군 당국은 계엄 이후 서북도서 훈련과 관련된 북풍 의혹을 강하게 반박해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해 12월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서북도서에서의 사격훈련 등은 9·19 군사합의 이전에도 있었고, 9·19 합의 중에도 가용 여건 하에서 충분히 이뤄졌으며 효력정지 이후에도 해왔다"며 "그걸 북풍으로 생각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훈련이 그런 규모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문재인 정부 시절 2017년 8월에도 해당 훈련은 K9 240발, 스파이크 1발 등을 앞세워 실시된 적이 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응징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항시 유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례적인 해상 사격훈련을 통해 서북도서부대 군사대비태세의 완전성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