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신용평가사들이 프랑스의 국가신용등급을 줄줄이 끌어내리면서 유로존(유로 사용 경제권) 2위 경제 대국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18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전날 프랑스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12일 피치 평가에서 역대 최저(A+) 등급을 받은 프랑스가 한 달 만에 또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굴욕적인 성적표를 받아든 것이다. 다만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S&P는 프랑스 정부가 의회에 300억 유로(약 50조 원)를 절감하는 내용의 2026년도 예산안을 제출했지만 연금 개혁 중단 등으로 적자를 획기적으로 줄이지 못할 것이라며 강등 배경을 밝혔다. S&P는 "2026년 예산안이 의회에 제출됐지만 프랑스 정부의 재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국내총생산(GDP)의 5.4%라는 올해 일반 정부 재정 적자 목표는 달성할 것으로 보이지만 상당한 추가 예산 적자 감축 조치가 없다면 재정 건전화는 예상보다 느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해 GDP의 6%에 이른 재정적자를 올해 5.4%로 줄이기 위해 공공 지출을 대폭 삭감하고, 한시적 대기업·부자 증세 등을 통해 추가 세수를 확보하는 내용의 2025년도 예산안을 마련했다. 내년에는 GDP 대비 재정적자를 4.7%까지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야권은 물론 연립 정당까지 반발하면서 총리 불신임 위협을 받고 있다. FT는 프랑스와 독일의 채권 금리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면서 “등급 하향으로 프랑스의 자금 조달 비용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