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세계 시장에서 김치를 판매할 때 주원료인 배추를 '차이니즈 캐비지(Chinese cabbage)' 대신 '김치 캐비지(Kimchi cabbage)'로 표기할 수 있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는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제48차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코덱스) 총회에서 김치의 세계 규격에 '김치 캐비지' 명칭이 공식 등록되는 등 한국 전통 농수산식품의 국제적 입지를 확고히 하는 주요 성과를 거뒀다고 17일 밝혔다. 코덱스는 식품의 국제교역 촉진과 소비자 건강 보호를 위해 식품 기준·규격을 개발하는 세계식량농업기구(FAO)·세계보건기구(WHO) 합동 위원회로, 현재 188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코덱스는 이번 총회에서 한국의 제안을 받아들여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명칭에 '김치 캐비지'를 추가했다. 이에 따라 기존 '차이니즈 캐비지'뿐 아니라 '김치 캐비지'와 '나파 캐비지(Napa cabbage)'도 세계 규격 명칭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김치는 2001년 세계 규격으로 제정됐다.
식약처는 "김치 종주국으로서 과학 문헌과 교역 관행에서 '김치 캐비지'와 '나파 캐비지'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확인해 주도적으로 규격 수정에 나선 성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통 식품인 국내산 김치의 고유성과 차별성을 높여 김치의 브랜드화와 수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코덱스는 한국 제안에 따라 기존에 아시아 지역 규격으로만 등재돼 있던 '김 제품'의 세계 규격화를 위한 신규 작업도 승인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증가하는 김 소비에 맞춰 주도적으로 고품질의 국제 표준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수출 대상국별 요구 사항에 대응할 필요가 줄어들면서 연간 10억 달러(약 1조4000여억원) 이상을 목표로 하는 김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한국은 이번 총회에서 과일·채소 가공 제품 규격을 다루는 코덱스 가공과채류분과 의장국으로 선출됐다. 앞으로 식약처가 의장으로 활동하며 김치와 인삼 제품, 고추장 등 국내 식품의 세계 규격 운영을 주도할 수 있게 됐다. 또 고구마·밤·감(홍시 포함) 등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소비되는 농산물 등의 국제 기준 설정도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정부는 "이번 코덱스 총회 성과를 바탕으로 K-푸드가 전 세계에서 더욱 신뢰받고 활발하게 교역될 수 있도록 국내외 협력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화장품칼럼] K-클린뷰티 화장품 단체표준 제정과 4가지 실행 과제](https://www.cosinkorea.com/data/photos/20251147/art_17633575886663_97686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