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한국] 서울시가 종묘 앞 세운4구역의 고도제한 완화를 추진하면서 재개발사업이 난관에 빠졌다. 잦은 계획 변경과 고도제한 상향 검토로 시행사인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는 설계를 확정하지 못했고, 2024년 완공을 목표로 하던 사업은 표류 중이다. 특히 시공사 코오롱글로벌은 착공 지시조차 받지 못한 채 이달 공사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 무리한 고도 완화 추진이 오히려 사업 지연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SH와 코오롱글로벌이 체결한 세운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공사 계약이 이달 26일 만료된다. 2019년 1월 공사 계약을 체결하고 5년이 지났지만, 공사는 첫 삽조차 뜨지 못했다. SH와 코오롱글로벌은 현재 계약 연장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운4구역 정비사업은 서울 사대문 안에서 가장 큰 재개발사업으로 꼽힌다. 2004년 도시환경정비사업이 고시되고 재개발이 시작됐지만 종묘 앞 고도제한이 걸림돌이었다. 이후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로 고도제한을 확정하고 2018년 사업시행인가를 받으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그러나 이후로도 사업은 수차례 제동이 걸렸다. 2021년 호텔 2개 동을 제외하는 계획 변경이 이뤄졌고, 매장유산 발굴 과정에서는 예상보다 오래된 조선 전기 6문화층이 발견돼 조사 기간이 길어졌다. 이런 변수로 일정이 늘어진 가운데, 서울시가 지난 10월 30일 고도제한을 145m로 상향하는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고시’를 발표하면서 사업은 다시 원점에 가까워졌다.
새로운 고도 기준에 맞춘 설계안이 아직 마련되지 않아 착공 시기도 가늠하기 어렵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SH로부터 착공 관련 지시를 받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발굴조사 역시 마무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2월 현장조사는 끝났지만, SH가 국가유산청에 보존 대책을 제출하지 않아 국가유산위원회 심의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어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보존 대상은 큰 틀에서 정리됐지만, SH가 보존 방안을 제출해야 최종 조치가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SH가 보존안을 제출하지 못한 배경 역시 설계 확정 지연 때문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업 난항은 그간 서울시 정책의 최대 수혜 기업 중 하나로 꼽혀온 코오롱글로벌에게는 예상치 못한 악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022년 번동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오세훈 시장의 ‘모아타운’ 사업에 통합되며 대단지 개발 기회를 얻은 것을 시작으로, 코오롱글로벌은 면목5동·천호동·마장동 등 여러 모아타운 사업을 잇달아 수주했다. 지난해 말에는 공사비 4284억 원 규모로 도시정비사업 사상 도급액 최대인 상봉7구역 사업까지 따냈다.
코오롱글로벌은 서울시 정책에도 협조적이었다. 2023년에는 부실공사 방지를 위한 건설현장 영상기록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했고, 2022년 노원구 월계동 동신아파트 재건축 입찰에서는 대형사 HDC현대산업개발과 함께 경쟁하며 ‘들러리 입찰’ 논란도 불거졌다.
오세훈 시장과는 개인적 인연도 있다. 오 시장은 과거 코오롱R&F에 거주했고, 2022년 코오롱그룹 후계자로 꼽히는 이규호 부회장의 결혼식에도 참석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고도제한 완화 추진은 코오롱글로벌의 핵심 사업을 옭아매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비주택 부문을 강화하며 재무구조 개선을 꾀해온 코오롱글로벌에게 세운4구역은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사업 지연이 길어질수록 기업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착공 지연에 따른 비용은 서울시와 발주처인 SH에서 보전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서울 시내의 건축이 문화재 때문에 어렵다는 것은 어느 건설사나 염두에 두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민호 기자
goldmino@bizhankook.com
[핫클릭]
· [단독] 현대카드, 자회사 블루월넛이 보유한 모던라이언 지분 전량 매각
· [단독] 김만배 누나 소유 연희동 자택도 압류…과거 윤석열 부친에게 매입
· [단독] SH, 종부세 789억 원 환급 소송서 패소
· [단독] 한강버스 건조업체, 운영사 상대 선박 건조 금지 가처분 제기
· 서울시, '전세사기' 사회주택 보증금 선지급한다더니 예산도 '아직'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산재로 공사 중단땐 원청이 추가 비용 부담해야"](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NHCFE6_1.jpg)

![[예규·판례] 의정부지법 “지자체 허가 지연, ‘정당’…종부세 추징 불가”](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6/art_17630957490315_8d4350.jpg)

![[단독] 울산사고 해체업체, 하도급 수주 전 회의 참석…석연찮은 수의계약](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9/e1e72466-8f75-4824-9a6d-ae040ac3fc5d.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