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AI發 개인정보 위험성 심각"

2025-03-31

국민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은 '인공지능(AI)이 유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위험이 심각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개인정보보호 및 활용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작년 9∼12월 공공기관 1천200곳과 종사자 수 1인 이상 기업 6천곳의 개인정보처리자를 비롯해 만 14세 이상∼79세 이하 내국인 3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AI가 유발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위험이 심각하다'고 응답한 성인과 청소년은 각각 76.1%, 76.2%였다.

'AI 서비스의 개인정보 처리 현황 공개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성인 72.1%, 청소년 71.0%로 집계됐다.

아울러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성인과 청소년 모두 90%를 넘었다.

다만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할 경우 '관련 동의 내용을 확인한다'는 비율은 성인 55.4%, 청소년 37.4%에 머물렀다.

동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성인(32.5%)과 청소년(34.8%) 모두 '내용이 많고 이해하기 어려워서'를 가장 많이 꼽았다.

개인정보를 제공할 때 가장 제공하고 싶지 않은 정보를 묻는 항목에선 성인은 '고유식별정보'를, 청소년은 '인적사항'을 들었다.

개인정보처리자를 대상으로 한 '개인정보 보호조치 이행률' 조사의 경우 공공기관은 99.5%, 민간기업은 59.9%였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공공기관은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97.7%·복수응답)과 '접근권한 관리'(81.9%), '접근통제'(76.8%) 등의 조치를 이행하고 있었다.

민간기업은 주로 '악성프로그램 방지대책'(36.7%)과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25.7%)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으론 공공기관(65.7%·복수응답)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기술개발 및 보급의 촉진'을 들었다. 민간기업(27.5%)은 '개인정보의 보호뿐만 아니라 원활한 활용까지 고려한 균형있는 정책 추진'을 택했다.

고은영 개인정보위 기획조정관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법령·제도개선과 기술지원, 점검 강화를 추진해 개인정보 신뢰 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태우 기자 press@a-news.co.kr

<저작권자 © 전파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