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교체, B2B 등 특정 기관 우대 없어…재고 구분 없이 순차 배급"

2025-05-03

"단체 가입자 고객 인지·분류 중…다만, 특정 부처·기업 우대 없다"

"9시 기준 유심보호서비스 추가 가입자 130만명, 누적 1714만명"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SK텔레콤(SKT)은 "B2B(기업·공공기관) 고객에게도 (일반 소비자와) 똑같은 기준으로 유심을 지급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SKT는 이날 서울 삼화타워에서 열린 'SKT 데일리 브리핑(SKT Daily Briefing)'에서 '지금 정부나, 기업들 B2B고객을 대상으로 따로 유심 교체를 진행했다는 얘기가 있어서 사실 확인 좀 해달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 같이 말했다.

SKT는 기업이나 정부 고객에게만 따로 우선적으로 유심을 교체해주거나, 별도로 분리된 재고를 배정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약 100만장의 유심 재고에 대해서도 B2B용과 B2C용으로 별도 구분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SKT 측은 "저희 이제 지난번 국정원에서도 이제 정부 부처나 지자체에도 권고를 해서 유심을 교체해라 그리고 지금 당장 안 되는 경우에는 우선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순차적으로 교체를 하라 이렇게 지시가 나오지 않았나, 그것처럼 일단 단체로 저희가 이제 기업이든 정부든 지자체든 이렇게 단체로 가입돼 있는 분들이 있지 않겠나,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일괄로 진행을 하게 된다"면서도 "그렇지만, 어느 부처는 더 빨리 주고 어느 기업은 더 빨리 주고 이럴 수는 없는 거기 때문에 그 부분은 일단은 유심 보호를 가입을 하시고 순차적으로 저희가 이렇게 (배부) 대응을 하려고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2B고객은 T월드 매장에 가는 게 아니라, B2B라인에서 따로 진행하는 것이냐'라는 물음에는, "단체로 가입 돼 있는 분들은 그렇게 (단체 취급을) 하려고 하지만, 추가적으로 확인을 해보겠다"고 답했다.

이어 '현재 갖고 있는 100만장 재고 중 B2B용과 B2C용이 따로 구분돼 있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구분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지난달 29일 정부 전 부처와 공공·산하기관에 SKT 유심 교체를 공식 권고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이에 따라 각 부처와 산하기관은 업무용 단말기기의 유심을 신속히 교체하도록 지시받았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4일 임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유심 교체 또는 유심보호서비스 신청을 안내했고, 네이버와 카카오도 같은달 28일 사내 공지를 통해 SK텔레콤 유심을 사용하는 임직원들에게 유심 교체를 권고했다.

이처럼 정부와 대기업에서 유심 교체를 일제히 권고한 가운데, 지난달 28일 SKT가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에서 유심 무료 교체를 시작하자 유심 재고가 빠르게 소진됐다. 이에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 '정부 및 기업 등 특정 집단에 유심이 우선 배급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 및 불만이 제기된 바 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는 김희섭 PR센터장, 임봉호 MNO사업부장, 유정환 인프라 센터장이 참여했다. 브리핑에 따르면 이날 9시 기준 SKT의 유심보호서비스에 추가 가입한 사람은 현재 130만명, 누적 가입자는 총 1714만명이다. 여기엔 전날 밤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 자동 가입 대상자도 해당된다. 전날 밤 자동가입된 사람은 205만명이다. 유심 교체는 누적 92만건 이뤄졌다.

yek105@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