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국 시인/교육학 박사/논설위원

필자는 지난번 본란에서 전통적 사제관의 표상에 대하여 논한 바 있다. 이번에는 그에 대한 보충적 의미로 전통적 사도관에 대한 미풍(美風)과 현대적 사도관의 조화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사제관과 사도관은 비슷한 말이지만 굳이 뜻을 구별한다면 사제관이란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관점이라면, 사도관은 스승이라는 직분과 역할 자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관점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사도관을 중심으로 논의를 해 보고자 한다.
예기(禮記) 학기 편에 스승이 엄격해야 자연히 그 도가 높아지고, 고서만을 암송하여 다른 사람의 물음을 기다리는 것만으로는 족히 스승이 될 수 없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또한 서경(書經)의 순전에서는 가르칠 때는 정직·온화·관용하고 간략하며 오만함이 없어야 한다고 하여 스승된 사람의 인격적 요소를 중시하고 있다. 이같이 전통적으로 교사에게는 덕이 있고 인격이 있고 도덕적으로는 사표가 될 것을 요구해 왔다. 옛 사람들이 “선비는 죽일 수는 있지만 그들을 욕되게 할 수는 없다”라고 한 것을 보면 사도의 길이 얼마나 곧고 강직하며 존경스러운 일인지를 헤아려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도라는 것이 미풍으로 되어왔다. 전통사회에서는 시골 어느 향촌이고 학문과 인덕이 높은 스승이 있다면 학생들은 이 곳으로 떼를 지어 모여들었다. 여기에서 군사부일체라는 전통이 세워지게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는 스승을 임금이나 부모와 동일한 자리에 놓아 존경하여야 할 것을 말하는 것으로 선생의 인격이 학생지도의 표준이 되고 사회도덕의 표준이 되어왔기에 선생으로 하여금 군사부일체라는 말을 듣게끔 하였다.
그렇다면 현대 사회 안에서 스승의 위치는 대체 어느 쯤에 있을까. 오늘날에도 스승이 물질적 풍요를 추구할 수도, 향유할 수도 없는 위치에 있지만 정신적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자랑스런 삶으로 이어가기 위해서 애쓰는 모범적인 스승이 많다. 그러나 언제부터 그렇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인간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높이 존경되어 온 교사들이 사회의 비난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여 사제 간의 윤리도 추락하고 말았다. 사제, 사도라는 낱말이 스승과 관련이 있는 줄 아는 이는 나이 먹은 사람들뿐이다. 이제 스승이라는 용어 자체도 고어가 되어가는 중이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민주화, 평등의식, 지식 발달에 따라 전통적 사도관이 상당히 변형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산업화와 정보화 시대를 거치면서 지식의 권위는 더 이상 스승에게만 집중되지 않는다. 인터넷과 기술의 발달로 누구나 쉽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니 스승은 더 이상 절대적 권위를 지니는 존재가 아니다.
이제 우리가 고민해야 할 점은 전통적 사도관의 미풍을 무조건 과거의 것으로 치부하지 말고 현대적 교육철학 속에 적절히 조화시키는 일이다. 전통적 사도관은 인간관계의 따뜻한 미풍을 남겼고 현대적 사도관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교육문화를 열었다 이 두 가치가 균형 있게 어우러지는 새로운 사도관을 지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교육은 스승을 존중하되 절대화하지 않는 태도, 평등을 중시하되 무례하지 않는 문화, 그러면서 스승과 제자가 함께 성장하는 교육공동체를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이포에서 상하이로, 마침내 귀향 [왕겅우 회고록 (22)]](https://img.joongang.co.kr/pubimg/share/ja-opengraph-img.png)

![[소년중앙] 행운·복·사랑…매듭 하나에 마음 엮으며 ‘케데헌’ 팔찌 완성](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4/b385a85c-f903-4954-8fa7-a043642c28de.jpg)
![[단독]“진화론 진위 밝혀진 것 없다”는 종교 교과서가 교육청 인정도서?](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24/news-p.v1.20251123.1463ee4d31b34a07a0738016ecc20637_P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