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은 27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직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최근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연말 수급 불균형을 중심으로 위험 요인을 점검했다.
이찬진 원장이 주재한 이날 회의에서는 주가 조정과 금리 상승, 고환율 등 11월 들어 나타난 불안한 흐름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 금감원은 이러한 변동성이 펀더멘털 훼손이 아닌 단기차익 실현, 연말 특유의 수급 불균형, 해외시장 변동 등 비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진단했다.
이어 금감원은 내년에는 경기 회복과 기업실적 개선을 기반으로 금융시장이 안정된 흐름을 되찾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한·미 금리경로의 불확실성, 글로벌 AI 투자 과열 우려, 국내 부동산시장 불안 등 잠재적 위험 요인이 여전히 크다고 보고 금융회사들의 선제 대응과 상시 점검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융안정과 소비자보호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며 모든 임직원에게 경계심과 철저한 대비를 지시했다. 특히 고위험 해외파생상품과 레버리지 상품 투자를 유도하는 이벤트성 마케팅 자제를 요청하고, 증권사별 신용공여 한도와 취급 동향을 일일이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 발견 시 즉각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외화자금 조달과 유동성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일시적 수급 불균형에 대비해 충분한 외화유동성을 확보하고, 급격한 시장 변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반대매매와 마진콜 위험을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연말 퇴직연금 유치경쟁 등으로 자금시장 내 급격한 머니무브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사 유동성 상황을 면밀히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해외투자와 부동산으로 쏠린 자금이 국내 산업의 혁신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종투사 IMA 제도 정착과 금융사 자본비율 유인체계 개선도 차질 없이 추진하라고 강조했다.






![[속보]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1.0%로 상향…내년은 1.8%](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27/news-p.v1.20251126.7a3c44a8e7274da58aa363d5f2230bdb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