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달러를 신흥국의 공식 통화로 도입하는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달러화)’의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중국이 자국 통화인 위안화의 국제화에 본격적으로 나서자 이를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읽힌다.
2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 백악관과 재무부 등 당국자들은 올 8월께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하면서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했다. 당국자가 만난 전문가 가운데 한 명인 스티브 행키 미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달러의 국제적 역할 강화에 대한 관심이 크고, 관련 검토를 나에게 요청했다”고 전했다. 행키 교수는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경제고문을 지낸 경제학자다.
FT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아르헨티나에 2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제공한 것도 현지 통화인 페소 대신 달러의 영향력을 키우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짚었다. 행키 교수는 당국자들에게 아르헨티나를 포함해 레바논과 파키스탄·가나·튀르키예 등의 국가들을 달러화가 가능한 신흥국 목록으로 전달했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당국이 행키 교수를 포함한 전문가들과 만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달러 강세와 위상 유지를 위한 의견 수렴 차원이었을 뿐 달러화 확대라는 정책 시행을 공식적으로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국이 달러화 확대를 검토하는 것은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에 시동을 건 것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미국 달러를 자국의 공식 통화로 인정한 주권국가는 총 10개국이며 달러가 현지 통화와 공동 통화로 인정받는 곳까지 합하면 35개국으로 늘어난다. 그러나 중국 인민은행은 최근 폐막한 제20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를 통해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고 무역에서의 위안화 활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를 두고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의지를 본격적으로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왔다. 위안화가 일부 국가에서 수출입 대금 결제에 활용되기는 하지만 공식 통화로 도입한 국가는 아직 한 곳도 없는 상황이다. 중국이 주축이 된 경제 연대체 브릭스(BRICS)가 미국의 관세 위협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자체 통화 창설’ 카드를 쥐고 흔드는 것도 이번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올 7월 “남미 국가와 유럽·중국은 자체 통화로 무역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영준칼럼] 美 위기 징후와 동맹전략의 과제](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510379.jpg)



![[데스크 칼럼] 국력이 곧 협상력…韓, 위기와 기회의 '갈림길'](https://img.newspim.com/news/2025/02/06/2502061129404640.jpg)


